50층 꿈꾸는 ‘은마 재건축’, 서울시 규제 넘기 안간힘
김창성 기자
5,946
공유하기
![]() |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사진=김창성 기자 |
19일 업계에 따르면 은마아파트 추진위는 지난 9일 설계사들이 제출한 단지 설계안을 놓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묻는 주민총회에서 주민투표를 통해 희림종합건축사무소(희림)가 제출한 설계안을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설계안은 39~109㎡ 주택형(전용면적 기준) 5940가구를 짓고 단지 중앙에는 서울광장의 1.3배 크기인 1만7000㎡의 선큰광장을 조성한다. 광장 주변에는 50층짜리 랜드마크 6개 동을 올리고 단지 남북으로 50m 너비의 통경축을 확보해 주거환경의 쾌적성을 높였다.
그동안 은마아파트 재건축사업은 총 사업비 1조5000억원대에 재건축사업 사상 최고 설계가인 157억원을 제시한 대규모사업으로 강남 부동산시장에서 상징성이 커 사업추진 초기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또 설계용역 응모자격에 최근 10년간 국내 또는 외국정부가 발주한 국제공모전 입상 실적을 명기했고 반드시 해외 설계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도록 제한했다.
이처럼 은마아파트는 서울 강남권에서 손꼽히는 대형 재건축단지로 추진위가 50층짜리 설계안을 들고 나섰지만 서울시와의 35층 층수제한 갈등은 여전하다.
서울시는 상업·업무시설중심지역으로 묶인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등을 제외하고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에 따라 주거지역 아파트 최고 층수를 35층으로 제한한다.
반면 추진위는 천편일률적인 층수 제한이 오히려 주민 삶의 질의 떨어뜨리고 도시 경쟁력을 저하시킨다고 맞선다.
추진위 측은 규제를 풀기 위해 지난해 말 서울시에 제3종일반주거지역 42층, 준주거지역 47층 등의 내용을 담은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수립안을 제출했지만 2030도시기본계획에 위반된다는 이유로 재검토 답변을 받아 갈등의 골은 깊어졌다.
다만 추진위는 서울시의 예외조항에 기대를 걸고 있다. 서울시는 국제현상공모 등을 통해 혁신적인 디자인의 아파트 단지를 만들 경우 시와 협의할 수 있는 길을 열어뒀기 때문.
하지만 이 경우에도 지구단위계획을 짜고 있는 압구정이나 반포·개포 등 타 지역과의 형평성 문제가 불거질 우려가 있어 당분간 은마아파트 재건축을 비롯한 한강변 주요 재건축 단지의 층수제한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