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지사. 지난 19일 제주 성당 사건과 관련해 원희룡 제주지사(오른쪽)와 제주지검과 제주경찰청 등 관계기관들이 모여 도청에서 대책 회의를 열었다. /사진=뉴시스
원희룡 제주지사. 지난 19일 제주 성당 사건과 관련해 원희룡 제주지사(오른쪽)와 제주지검과 제주경찰청 등 관계기관들이 모여 도청에서 대책 회의를 열었다. /사진=뉴시스

원희룡 제주지사가 제주 성당 사건과 관련해 외국인 범죄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무사증(무비자)제도에 대해 "단순하게 파악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지난 19일 도청에서 제주도를 비롯해 제주지검, 제주경찰청, 출입국관리사무소 등 관계 기관이 모인 외국인 범죄 재발 방지 대책회의에서 원희룡 지사는 "여러 다른 나라들이 시행하고 있는 무사증 제도와 운영 내용을 두루 파악하고 이것이 관광과 견제, 외교에 미치는 전반적인 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부터 다각도로 검토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 지사는 "출입국 과정이 친절·신속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보니 지문 확보나 출입국 심사 정보가 충분한지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보안할 내용들이 많다는 지적인 것 같다"며 "이 점에 대해서는 법무부와 검찰과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단순히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관광 한국의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 국무총리 등 중앙정부에도 외국인 범죄의 심각성을 전면 검토하고 당면 혹은 중장기 대책을 검토하고 협의하자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원 지사는 "중앙부처 책임자들에게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제주도의 외국인 범죄에 대해 심각하게 전면적으로 원인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중장기 대책을 세워나가도록 요청했다"며 "제주도내 관련기관 간에도 허심탄회한 논의가 필요한데 우선적으로 경찰 등과 관련해 외사 범죄에 대한 기구와 전문 수사 인력 보강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