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성 교수 백선하 교수.  백남기 농민의 주치의인 백선하 서울대학교병원 교수(왼쪽)와 이윤성 서울대학교 의대 법의학교실 교수가 어제(3일) 오후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열린 '백남기 농민 사망진단서 논란에 대한 서울대학교병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합동 특별조사위원회' 언론 브리핑을 마친 후 단상을 내려오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윤성 교수 백선하 교수. 백남기 농민의 주치의인 백선하 서울대학교병원 교수(왼쪽)와 이윤성 서울대학교 의대 법의학교실 교수가 어제(3일) 오후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열린 '백남기 농민 사망진단서 논란에 대한 서울대학교병원-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합동 특별조사위원회' 언론 브리핑을 마친 후 단상을 내려오고 있다. /사진=뉴시스

백선하 교수의 병사 판단에 반대의견을 밝혔던 이윤성 교수가 라디오인터뷰에서 다시 입장을 반복했다. 어제(3일) 백남기 농민 사망 진단서 관련 서울대병원 특별위원회 조사 결과 발표에서 백선하 교수가 ‘병사’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데 반해 “나라면 외인사라고 쓰겠다”며 별도 의견을 밝힌 이윤성 교수가 라디오 인터뷰에 응해 같은 의견을 되풀이했다.

이윤성 서울대의대 법의학교실 교수는 오늘(4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인터뷰를 가진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윤성 교수는 “백남기씨의 사망 원사인이 머리에 입은 손상이었다. 사망의 종류는 원사인에 따라 분류하는 게 원칙이고 그렇다면 외인사가 맞다”고 밝혔다. “급성경막하 출혈 후 유족 입장 때문에 최선의 진료를 받지 못해 사망했으므로 병사로 기재했다”고 밝힌 백선하 교수 의견과 반대되는 주장이다.


이윤성 교수는 백선하 교수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나도 잘 이해 못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윤성 교수는 “그것(치료를 제대로 못한 것)하고 사망의 종류를 결정하는 내용하고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연명의료를 하지 않은 것하고 병사를 선택하는 것하고는 전혀 관련이 없는 사항이다. 따라서 나는 그런 주장을 납득할 수 없다는 것이다”며 거듭 백선하 교수의 병사 주장을 이해할 수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 교수는 또 “내가 만일 뇌수술을 받으면 백선하 교수한테 가서 수술을 받겠다. 그런데 내 사망진단서를 백선하 교수에게 맡기지는 않겠다”고 말하며 진단서 사인 작성이 자신의 생각과는 다르게 됐음을 다시금 확인했다.


이윤성 교수는 이어 “백선하 교수에게 사망진단서 작성 원칙이 이거 잘못됐고 이거 잘못됐다라고 얘기를 하고 설명을 하고 토론을 했는데, 문제는 백선하 교수가 그걸 받아들이지 않는다”며 진단서 문제에 대해 설득하는 절차가 있었음을 밝혔다. 그러나 “진단서는 진료한 의사가 작성하는 것이라 강요는 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윤성 교수는 “진단서를 사망진단서 내용과 무관하게 이 사람이 뭘로 사망했는가 하는 것을 받으면, 진단서가 아닌 형식으로 의견을 받으면, 문제는 해결될 걸로 생각된다”며 해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외압 논란에 대해서는 “그런 건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런데 지금 사망진단서 그렇게 썼다고 해서 수사의 방향이 달라지거나 부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거나 그럴 수 없는 절차”라며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