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동부건설
/사진=동부건설



최근 4년 동안 고속도로 터널 내 교통사고가 급증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헌승 새누리당 의원은 한국도로공사 국정감사에서 터널 내 교통사고와 사상자 수가 2013년 100건·66명, 2014년 110건·73명, 2015년 130건·77명, 올해 9월 기준 92건·102명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안전시설은 허술한 상태다. 국토교통부가 2004년 작성한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 의하면 3등급(500m 이상 1000m 미만) 터널에 피난연결통로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지만 현재 3등급 터널 146개소 중 58.9%에 달하는 86개소에 피난연결통로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전북(40.9%), 대구·경북(36.8%), 대전·충청(35.3%), 강원(33.3%), 수도권(22.2%)은 설치율이 절반에 못미쳤다.


또한 지난해 12월 국민안전처는 2004년 이전 시공된 터널이 대부분인 점을 감안해 1·2등급 터널에 설치하는 제연설비를 확충하도록 했지만 현재 3등급 터널 146개소 중 123개소(84.2%)에 제연설비를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연설비는 화재 시 유독가스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배출하고 매연을 희석시켜 피난상 안전을 도모하는 소방시설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88.9%로 설치율이 가장 높았지만 부산·경남 28.6%, 대전·충청 17.6%, 강원 16.7%, 대구·경북 5.3%, 전북 4.5%이며 광주·전남은 한곳도 설치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김학송 한국도로공사 사장은 "관련법이 개정되면서 안전기준이 강화됐는데 100% 보강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며 "다각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