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주홍 국민의당 의원. /사진=뉴시스 DB
황주홍 국민의당 의원. /사진=뉴시스 DB
국정감사에서 유전자조작농산물(GMO)의 안전성이 도마에 올랐다.

앞서 GMO는 1987년 세계적인 농약·종자 기업인 몬산토와 칼젠, 듀폰 등이 바이러스나 제초제에 강한 토마토를 시험 재배하면서 상업화가 가속됐다. 10년 만에 몬산토는 GM 콩을, 스위스의 노바티스는 GM 옥수수를 재배하고 1996년 상업화에 성공했다. 이 시기부터 우리 밥상에 GMO가 본격적으로 올라왔다.


이처럼 GMO가 우리 식탁을 점령한지 오래됐지만 정작 표시제 조차 마련되지 못해 소비자의 알 권리가 제한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오히려 정부가 나서서 잘못된 홍보로 소비촉진까지 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더구나 국내에서 GMO를 시험재배한지 10년이 지났지만 관리 소홀로 인한 작물 유출 우려도 높은 상황.

이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는 지난 4일 농촌진흥청이 연구·개발하고 있는 GMO의 위험성을 제기했다.
이날 농해수위 소속 이개호(담양·함평·영광·장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농진청을 상대로 한 국정감사에서 GMO의 노지 재배 연구가 비의도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농촌진흥청이 가축과 곤충, 작물에 대한 GMO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밀과 국화, 유채, 토마토는 실험실에서 연구 사업이 진행되고 그 이외에는 노지에서 재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GMO의 노지 재배는 위험성에 노출돼 있다”며 “수분과정에서 바람과 곤충 등으로 인해 비의도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황주홍(고흥·보성·장흥·강진) 국민의당 의원은 농진청의 허술한 GMO 작물 관리는 안전불감증의 대표적인 사례라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황 의원은 “GMO 생물체가 유출되면 인체에 치명적인 위험을 미치고 생태계 교란을 갖고 올 수 있다”며 “이 생물체에 대한 국민 우려와 불안감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18개 연구기관에서 동물 35종, 작물 111종 등 총 146종의 GMO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관리청인 농진청이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는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