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 배규민 기자
/사진=머니투데이 배규민 기자



서울시가 발주한 공사의 부실시공과 불법시공 적발건수가 4년 사이 9배 증가했다. 1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용기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2012년부터 올해 8월까지 서울시 발주공사 중 불법시공 및 부실시공으로 적발된 건수가 51건이라고 밝혔다.


연도별로는 2012년 2건, 2013년 4건, 2014년 19건, 2015년 18건, 올해 8월 말 기준 8건으로 해다마 증가추세다. 지난해의 경우 2012년에 비해 9배에 달하는 부실공사가 적발됐다.

유형별로 보면 안전관리대책 소홀이 23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설계도서나 관련기준과 다른 시공이 21건, 가설시설물 설치상태 불량 16건, 품질관리계획 실시 미흡 9건, 누전차단기 미작동 3건 순이다.


건설사별로는 포스코건설이 7건으로 부실공사 적발건수가 가장 많았다. 이어 현대로템 4건, 고려개발 3건 순이다. 또한 건설기술진흥법상 부실공사로 발주청에 손해를 끼쳐 가장 많은 벌점을 부과받은 공사장은 제2롯데월드 건설현장으로 드러났다.

정용기 의원은 "서울시의 고질적인 안전불감증 탓에 부실시공을 남발하는 공사장이 급격히 늘고 있다"며 "부실공사를 저지른 업체는 강하게 처벌하고 공사장 안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