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회의실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br />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회의실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조선업 구조조정과 관련한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의 보고서의 활용을 놓고 뒷말이 무성하다. 당초 구조조정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해줄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으나 업계의 지나친 반발과 관여로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는 비판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8일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맥킨지 보고서는 현재 내용이 확정되지 않았고, 조선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참고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앞서 일부 언론을 통해 보도된 보고서를 원천배제하기로 했다는 이야기에 대한 반박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참고용이라는 것은 굉장히 주관적인 표현”이라며 “결과적으로 듣고싶은 이야기만 끌어다 쓴다는 말”이라는 비난이 거세진다.

지난 6월 맥킨지는 조선해양플랜트협회의 의뢰로 국내 조선업계의 구조조정 방향에 대한 컨설팅을 시작했다. 정부가 ‘업계 자율적으로 구조조정의 청사진을 마련하라’는 방침에 의한 것이다.


하지만 지난 8월 제출됐어야 할 맥킨지의 보고서는 이달 말로 제출이 미뤄졌다. 업계에서는 보고서의 지연 이유가 ‘업계의 반발 때문’이라고 말한다. 계약 형태로 이뤄지는 컨설팅업체의 보고서는 완성과정에서 업계의 의견을 반영하는데, 이 과정에서 반발에 부딪혀 컨설팅 내용 재검토를 되풀이하고 있다는 것.

맥킨지는 보고서 초안에 조선 빅3의 고강도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언론을 통해 이런 초안 내용이 일부 유출되자 대우조선은 지난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터무니 없는 가정하에 진행돼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컨설팅 결과를 구조조정의 가이드라인으로 삼기로 한 정부의 입장선회에도 많은 비난이 제기된다. 미리 방침이 정해진 상황에서 ‘컨설팅 결과’라는 명분만 내세우는게 아니냐는 것.

재계 한 관계자는 “정부는 초기에 이 보고서가 절대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것처럼 말했지만 일부 내용이 공개된 후 ‘참고’로 입장을 바꿨다”며 “사실상 정책의 방향을 잡아놓고 컨설팅을 통해 명분을 확보하려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또, IB업계 한 관계자는 “사실 일반 기업에서도 외부 업체의 컨설팅은 경영방침에 확신을 갖기 위해 참고자료로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라며 “의뢰자의 의견이 반영될 수 밖에 없는 외부업체의 컨설팅은 이번 구조조정 사안과 어울리지 않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한편 맥킨지는 이달 중 지연된 보고서를 제출할 방침이다. 이에따라 정부도 이달 말 조선·해운업 산업구조 개편과 경쟁력 강화방안을 구체화해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