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X 조선소 /자료사진=임한별 기자
STX 조선소 /자료사진=임한별 기자

한국 조선·해운업의 기업부채 구조조정 비용이 31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국제통화기금(IMF)이 추산했다. 

IMF는 최근 이런 내용을 담은 '기업부채 구조조정의 혜택과 비용: 한국을 위한 추정' 조사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2014년 기준 3년 연속으로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대비 이자비용)이 1 이하인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부채 구조조정의 혜택과 비용을 추산한 것이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이자보상배율 1 이하인 기업의 이익이 10% 떨어질 때 조선업을 포함한 제조업과 해운업, 건설업 등에서 위험에 처하는 부채가 GDP의 12∼14%, 위험에 처하는 일자리는 1.9∼2.1%에 이른다. 부도시 손실률을 산업에 따라 40~50%로 가정하면 채권자 손실은 국내총생산(GDP)의 5.5∼7.5%에 달하고, 고용은 0.4∼0.9% 영향을 받게 된다.


IMF는 이런 추산을 바탕으로 조선·해운 구조조정의 비용을 계산한 결과, 3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다만 기업부채 구조조정을 거치면 기업의 투자가 늘어나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고, 고용도 늘어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은 10년가량이 지나면 만회될 수 있다고 IMF는 내다봤다.


IMF는 보고서에서 "핵심 결론은 기업부채 구조조정은 중기적으로는 성과가 난다는 것"이라며 "경제적 비용은 10년간에 걸쳐 만회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IMF는 기업 부채구조조정은 이후 한국의 GDP 성장률을 연 0.4∼0.9%포인트 끌어올리고, 고용을 0.05∼0.1% 늘리는 효과를 낼 것으로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