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진현진 기자
/사진=진현진 기자

네이버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미래기술을 공개했다.

네이버는 24일 코엑스에서 열린 네이버 개발자 컨퍼런스 'DEVIEW 2016'에서 대화시스템 아미카(AMICA)를 처음으로 공개하고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미래 기술을 연구하는 개발 조직의 별도 법인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미카는 AI 대화시스템으로 기기가 사람의 언어를 이해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아미카는 그간 네이버가 축적해온 딥러닝, 음성인식, 음성합성 연구의 결과물이다.

이날 참석한 송창현 CTO(최고기술총괄)는 “아미카는 모바일 메신저 라인에서 활용될 것”이라며 “모든 앱이 사라지고 모든 도메인이 모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미카는 오늘부터 베타테스트가 진행된다”고 소개했다.


네이버는 이날 3차원 고정밀 실내지도를 만드는 로봇 'M1'도 공개했다. 이는 네이버랩스에서 개발한 것으로 지난해 신기술 사업 '프로젝트 블루'에 착수한 결과물이다. 송 CTO는 “로봇을 통한 정확한 실내외 지도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기술과 접목된 차량 모빌리티 분야의 자율주행 기술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이버는 차량을 정보를 주고받는 플랫폼으로 보고 IT기술을 자동차 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특히 ‘인지’ 분야에 주목해 정밀한 물체 인식, 상황 판단 등을 연구 중이다.


5년간 개발한 자체 웹브라우저 ‘웨일(WHALE)’도 처음 선보였다. 송 CTO는 “네이버의 자체 웹브라우저 웨일이 올해 12월 테스트를 앞두고 있다”며 “따로 검색을 하지 않아도 드래그 기능을 통해 정보를 알려주며 통역앱 파파고 기술이 탑재돼 외국어 번역이 자동으로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로 9회째를 맞는 데뷰는 국내외 IT 기업 및 유수의 대학 엔지니어들이 발표자로 참여한 가운데 머신러닝, 로보틱스, 빅데이터, 검색, 선행기술, 개발자문화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주제, 총 44개 세션으로 진행된다.


이날 행사시작에 앞서 인사말을 전한 이해진 네이버 의장은 “앞으로는 기술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네이버 안에서도 자회사를 만들려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