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의존도 빨간불… '질적성장' 전환 필요해
김노향 기자
2,132
공유하기
경제성장 대부분을 부동산경기에 의존하는 상황이 계속되면서 경고음이 울린다. 정부가 부동산규제를 완화하고 저금리정책으로 투자가 늘고 있지만 앞으로 주택 공급과잉 문제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은행과 국제금융센터 등은 부동산·건설투자로 인한 경제성장률이 위태롭다는 보고서를 잇따라 내놓았다.
올해 3분기 건설투자는 직전분기대비 3.9%, 전년동기대비 11.9% 증가했다.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7%다. 한은은 올해 건설투자 증가율이 10.5%에 달해 지난해 3.9%의 2배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성장세가 계속 유지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내년 건설투자의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이 상반기 5.3%, 하반기 3.1%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같은 전망은 지방의 미분양주택 증가와 주택담보대출로 인한 가계부채 문제가 주요원인으로 꼽힌다. 한국은행은 보고서에서 "건설투자의 양적확대보다 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 건설시장의 고용구조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영국 은행 바클레이즈도 최근 건설투자 증가율이 전년동기대비 20%를 넘었지만 연말에는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씨티그룹과 HSBC도 건설경기가 아파트 분양 호조로 당분간 지속되다가 미분양주택이 늘면서 주춤할 것으로 내다봤다.
![]() |
/사진=머니S DB |
최근 한국은행과 국제금융센터 등은 부동산·건설투자로 인한 경제성장률이 위태롭다는 보고서를 잇따라 내놓았다.
올해 3분기 건설투자는 직전분기대비 3.9%, 전년동기대비 11.9% 증가했다.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7%다. 한은은 올해 건설투자 증가율이 10.5%에 달해 지난해 3.9%의 2배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앞으로는 이런 성장세가 계속 유지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내년 건설투자의 전년동기대비 증가율이 상반기 5.3%, 하반기 3.1%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같은 전망은 지방의 미분양주택 증가와 주택담보대출로 인한 가계부채 문제가 주요원인으로 꼽힌다. 한국은행은 보고서에서 "건설투자의 양적확대보다 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 건설시장의 고용구조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영국 은행 바클레이즈도 최근 건설투자 증가율이 전년동기대비 20%를 넘었지만 연말에는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씨티그룹과 HSBC도 건설경기가 아파트 분양 호조로 당분간 지속되다가 미분양주택이 늘면서 주춤할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노향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재테크부 김노향 기자입니다. 투자와 기업에 관련한 많은 제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