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 10년새 2배 이상↑… 전체 비정규직 22.8% 차지
김수정 기자
2,829
공유하기
![]() |
/자료사진=뉴스1 DB |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60세 이상 비정규직은 146만8000명으로 비정규직 전체(644만4000명) 연령대 중 가장 많은 22.8%를 차지했다.
10년 전인 2006년 8월(61만1000명)과 비교하면 2.4배나 증가한 수치다. 50대 비정규직은 138만2000명(21.5%)으로 두 번째로 많았으며 같은 기간 1.6배나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20∼40대 비정규직은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뤘다. 30대 비정규직은 138만5000명에서 99만4000명으로 30% 가까이 줄었다. 20대 비정규직은 114만1000명에서 112만9000명으로, 40대는 132만5000명에서 127만7000명으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10년간 전체 비정규직은 545만7000명에서 644만4000명으로 약 100만명 늘어났는데 이는 중장년층의 비정규직 증가가 견인했다는 뜻이다.
비정규직은 더 많은 중장년 계층에 더 많은 일자리를 나눠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실제 이 기간 60대 고용률은 38.4%에서 41.1%로, 50대 고용률은 68.5%에서 74.7%로 호전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한국의 현실을 고려하면 비정규직과 함께 안정적인 일자리도 균형 있게 제공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높은 노인 빈곤율은 비정규직 중심의 단순 노무직에 집중된 고용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개선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서울연구원이 지난해 서울시에 사는 만 65세 이상 일하는 노인 1000명을 조사한 결과, 85.4%가 경비·청소·가사도우미 등 단순 업무직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기준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47.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노인 빈곤율 1위라는 불명예를 수년째 떨쳐내지 못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