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반려견이 사람을 물거나 대소변을 아무 곳에나 보는 등 문제행동을 하면 주인은 훈련을 통해 교정을 시도한다. 하지만 이는 사람의 입장에서 바라볼 때 문제행동일 뿐 반려견의 잘못이 아니다. 적절하게 교육하지 못한 주인의 잘못이다.


많은 사람이 반려견과 주인 사이의 ‘서열’을 중요시한다. 반려견이 주인보다 높은 서열이라고 생각할 때 주인을 무시하면서 문제행동을 보인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서열을 바로잡으려고 반려견 목을 조이는 ‘초크체인’을 사용하거나 반려견을 배가 보이게 눕힌 후 못 움직이게 꽉 잡고 눈을 쳐다보며 혼내는 훈련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개보다 주인의 서열이 더 높아야 한다는 ‘서열 이론’은 낡은 이론이다.
[더불어 사는 세상] 칭찬은 반려견도 춤추게 한다

최근의 이론은 반려견과 주인이 올바른 교감과 교육을 통해 서로간의 신뢰를 쌓을 때 반려견이 주인의 리더십을 긍정적이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한다. 오로지 명령만 하고 명령을 수행하지 못했을 때 혼내는 사람보다 솔선수범을 보이면서 팀원을 이끌어가는 사람이 진정한 ‘리더’로 인정받는 것과 같은 이치다.

서열 이론을 바탕으로 한 대표적인 훈련법이 ‘혼내는 것’, 즉 처벌이다. 처벌은 짧은 시간 안에 반려견의 행동을 교정할 수 있지만 여러 한계가 있다. 우선 처벌이 효과적이려면 반려견이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1초 안에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 또한 잘못된 행동을 할 때마다 한번도 빠짐없이 처벌해야 한다. 강도 역시 반려견이 처벌이라고 느낄 정도로 충분해야 한다.


이처럼 매번 적절한 강도로 한번도 빠짐없이 1초 내에 처벌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더 큰 문제는 처벌할 경우 반려견이 교육 자체를 싫어하게 되고 주인과의 신뢰 관계가 깨질 수 있다는 점이다. 잘못된 행동을 멈추게 할 수는 있지만 올바른 행동을 가르칠 수 없다는 게 치명적인 단점이다.

[더불어 사는 세상] 칭찬은 반려견도 춤추게 한다
반려견을 교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처벌이 아니라 칭찬과 보상이다. 반려견이 좋은 행동을 했을 때 간식을 주면서 칭찬하고 그 행동을 더 많이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야생동물은 먹이나 번식 등을 두고 서로 경쟁하기 때문에 서열이 생기지만 반려견은 주인과 경쟁하지 않는다.

따라서 ‘반려견과 주인의 서열이 중요하다’는 구시대적 이론이 하루빨리 사라졌으면 한다. 서열 이론을 바탕으로 한 처벌 방법도 없어지길 기대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훈련’이라는 말보다 ‘교육’이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했으면 한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62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