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사옥. /사진=뉴스1
SK텔레콤 사옥. /사진=뉴스1

SK텔레콤이 KT와 LG유플러스가 고객 편익과 방송산업 선순환을 외면하고 자사 이익만 취하려 한다는 입장을 9일 발표했다. 이는 앞서 KT와 LG유플러스가 SK텔레콤이 유통망에서 자회사인 SK브로드밴드의 초고속 인터넷과 IPTV를 대신 판매하는 행위를 금지시켜야 한다는 공동입장을 밝힌 데에 따른 대응이다.

KT와 LG유플러스는 이날 미래부가 추진 중인 ‘동등결합’이 SK텔레콤의 유선 상품 위탁ㆍ재판매가 허용되는 상황에서는 유명무실하다고 비판했다. SK텔레콤이 1만개 이상의 판매채널을 가지고 있는 것에 반해 케이블업체들은 대부분 설치기사, 전단지 등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 있어 SK텔레콤의 자금력과 유통망에 경쟁력을 잃는다는 주장이다.


SK텔레콤은 KT와 LG유플러스의 공동입장에 대해 ‘무불간섭’(상관없는 일에 공연히 간섭하고 참견)식 주장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SK텔레콤 측은 “결합상품은 소비자에게 연 1조원 이상의 절감 편익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소비자 친화적 상품”이라며 “법 테두리 내에서 유료방송 사업자와 공정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유료방송 업계의 발전 및 고객 편익 증진을 위해 케이블TV 사업자들과 동등결합 상품 출시를 긍정적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SK텔레콤은 “상품서비스 경쟁을 통해 산업발전과 소비자 편익을 우선시하는 책임 있는 사업자로 거듭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