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총수일가 미성년자 43명이 보유한 상장주식 가치가 1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4일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집단별 미성년자(친족) 주식소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해 4월1일 기준 16개 그룹에서 대기업 총수 미성년 친족 43명이 상장계열사 20곳, 비상장계열사 17곳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이들이 보유한 주식 중 상장계열사 주식의 가치는 총 1019억원(지난 8일 기준)에 달한다. 한명이 평균 23억7000만원의 상장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두산 오너일가의 미성년자가 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은 두산, 두산건설, 두산중공업 주식 31억원과 비상장계열사인 네오홀딩스 지분 2만5966주(지분율 0.19%)를 골고루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GS는 미성년 5명이 상장사인 GS와 GS건설 주식 737억원과 비상장계열사 5곳의 지분을 나눠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LS는 미성년 3명이 LS와 예스코 주식 33억원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KCC의 경우에는 미성년 1명이 110억원 상당의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롯데 ▲CJ ▲현대산업개발 ▲효성 ▲대림 ▲동국제강 ▲세아 ▲OCI ▲중흥건설 ▲태광 ▲하림 ▲한국타이어 등도 오너일가 미성년 친족이 상장·비상장계열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다.


박광온 의원은 “사회·경제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대기업이 오너일가의 개인 재산으로만 고려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라며 “이들 중 GS는 42억원, LS는 16억원을, 두산은 11억원을, 대림은 6억원을 각각 미르·K스포츠지단에 출연한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