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다동 사옥. /사진=머니S DB
대우조선해양 다동 사옥. /사진=머니S DB

16일 금융권 및 조선업계에 따르면 산은은 오는 18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대우조선 자본잠식 해소를 위한 방안을 의결한다.

산은과 수은은 감자와 출자전환, 영구채 매입 등을 통해 대우조선에 총 2조8000억원 규모의 자본을 확충할 계획이다. 다만 채권단은 자본확충이 실행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대우조선 노조의 자구계획 동참과 무파업 확약서를 요구하고 있다. 노조가 산은 이사회가 열리는 18일까지 확약서를 내지 않으면 연내 자본확충은 무산된다.


자구안 동의서 제출을 놓고 노조와 채권단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채권단의 요구로 정성립 사장은 지난 9일 홍성태 노조위원장과 만나 고통분담이 불가피함을 호소했지만 설득에 끝내 성공하지 못했다.

또 산은은 두 차례에 걸쳐 담당 부행장을 통해 대우조선 노조와 대화를 시도했으나 노조의 전환적 태도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노조는 대우조선 자구안에 포함된 인력 감축안이 집행될 경우 생산직 위주의 구조조정이 실시될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노조는 직원들의 보유 주식 감자에 따른 손실분 보상도 요구하고 있다.

다만 노조가 마지막까지 반대만은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당장 채권단이 출자전환, 영구채 매입 등을 시행하지 않으면 대우조선의 법정관리가 불가피하기 때문. 이 경우 노조의 의지와 관계없이 대규모 인력 조정이 불가피하다.


이번 자본확충은 완전 자본잠식으로 상장폐지 위기에 몰린 대우조선의 부채비율을 900%대로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대우조선은 내년 4~11월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규모가 9400억원에 달한다. 자본확충을 하더라도 경영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유동성 위기에 다시 빠질 수밖에 없다는 게 채권단의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