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2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박정희 탄생 100돌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출범식 참석을 마치고 나서는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취재진의 질문세례에 당혹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사진=뉴시스DB
이달 2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박정희 탄생 100돌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출범식 참석을 마치고 나서는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취재진의 질문세례에 당혹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사진=뉴시스DB
검찰이 박근혜 대통령을 '공범'으로 명시해 최순실씨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을 일괄기소하며 강경대응으로 나섰다. 하지만 검찰은 아직 우병우 전 민정수석과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어 앞으로 이 두 사람에 대한 수사가 어떻게 진행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20일 최씨와 안 전 수석, 정 전 비서관 등을 구속기소했지만 아직 우 전 수석, 김 전 실장 관련 의혹 등 일부 의혹에는 여전히 수사에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


우 전 수석은 지난 2014년 '정윤회 문건' 파동 당시 담당 경찰관들을 회유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어 '국기문란' 여부를 확인하려면 우 전 수석에 대한 수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 우 전 수석은 최씨가 주요 국정 현안에 개입해 각종 전횡을 휘두르는 것을 막는 등 민정수석에게 주어진 대통령 측근 감찰 업무 등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다는 의혹으로 검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김 전 실장은 고 김영한 민정수석의 '비망록'이 언론을 통해 공개된 후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했다는 의혹, '최순실 교과서'라는 의심을 받고 있는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지시했다는 의혹, '정윤회 문건' 파동 무마를 지시했다는 의혹 등으로 검찰에 고발당한 상태다.

특히 김 전 실장은 최씨와 최씨 둘째언니 최순득씨가 단골인 병원 차움의원에서 줄기세포 치료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등 이 병원 관련 의혹에도 연루됐다.


법조계 관계자는 "두 사람은 최순실 국정 농담의 핵심 인물로 반드시 소환 조사가 필요하다"면서 "특히 우 전 수석은 '황제 조사'를 받았다는 논란도 불거진 바 있어 검찰 입장에서도 반드시 소환해 철저히 조사하겠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검찰은 김 전 실장과 우 전 수석을 늦어도 다음주에는 소환해 조사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