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청문회] 윌스트리트저널 “한국 정경유착 관행 수십년 지속”
허주열 기자
3,489
공유하기
한국경제를 대표하는 재벌총수 9명이 6일 열린 국회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가운데 윌스트리트저널이 “한국에는 정부 주도로 기업이 자금을 지원하고 그에 대한 긍정적 대가를 바라는 관행이 수십년간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다”고 비판했다.
윌스트리트저널(이하 WSJ)은 5일(현지시간) 국회 최순실 국정조사 관련 도보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을 포함한 재계 지도자들이 국회 청문회에 출석해 박근혜 정부 비선실세 최순실씨가 주도한 재단을 지원한 것과 관련한 질의를 받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WSJ는 또 “삼성·현대·SK·한진 등 대기업들은 최씨 측 일가와 연루된 사업에 기부를 했다”며 “의원들이 재벌총수들에게 정부와 연결고리가 있는지를 추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WSJ은 “한국 재벌의 기부는 형사처벌을 받은 재벌에 대한 대통령 특별사면과 관련이 있다”며 “지난 10년간 삼성, SK, 한화, 현대차, CJ 그룹총수가 사면을 받았다”고 꼬집었다.
![]()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의혹을 규명하기 위한 국회 최순실 국정조사 청문회가 6일 국회에서 열린 가운데 한국을 대표하는 9명의 재벌총수들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사진=사진공동취재기자단 |
윌스트리트저널(이하 WSJ)은 5일(현지시간) 국회 최순실 국정조사 관련 도보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을 포함한 재계 지도자들이 국회 청문회에 출석해 박근혜 정부 비선실세 최순실씨가 주도한 재단을 지원한 것과 관련한 질의를 받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WSJ는 또 “삼성·현대·SK·한진 등 대기업들은 최씨 측 일가와 연루된 사업에 기부를 했다”며 “의원들이 재벌총수들에게 정부와 연결고리가 있는지를 추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WSJ은 “한국 재벌의 기부는 형사처벌을 받은 재벌에 대한 대통령 특별사면과 관련이 있다”며 “지난 10년간 삼성, SK, 한화, 현대차, CJ 그룹총수가 사면을 받았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