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유착의 진원지라는 의심을 받는 전경련이 존폐 기로에 섰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의혹 규명을 위해 6일 열린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재벌총수들이 해체 아니면 환골탈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전경련 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위 그룹사 수장들이 전국적으로 생중계되는 청문회에서 한 발언인 만큼 어떤 식으로든 전경련의 변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이날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부터 “전경련 해체에 동의하나”라는 질문을 받고 “전경련에 소속된 직원도 많고 여러 선배 회장님들도 있는 자리에서 제가 감히 말할 부분이 아닌 것 같다”면서도 “저는 개인적으로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고, 삼성도 전경련에 기부금을 내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는 사실상의 전경련 탈퇴 선언으로 해석된다.


6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조사 청문회에 증인으로 참석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무거운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6일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조사 청문회에 증인으로 참석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무거운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또 이 부회장은 “전경련 해체에 반대하는 사람은 손을 들어 보라”는 질의에 최태원 SK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과 함께 손을 들지 않아 해체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도 관련된 개별 질의에서 “전경련 탈퇴 의사가 있기는 하다”고 답했다.

다만 최 회장은 개별 질의에서 “환골탈태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구본무 LG그룹 회장도 “헤리티지 재단처럼 재단을 통해 운영하도록 하고 재계 친목 단체로서의 역할만 해야 한다”고 전경련의 대대적 수술을 주장했다.


이와 관련 현재 전경련 회장을 맡고 있는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해체는 제 마음대로 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여기서 말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