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AJ렌터카 제공
/자료사진=AJ렌터카 제공

겨울철에는 차량을 야외에 장기간 노출시키지 않아야 한다. 산성 눈을 맞아 차가 녹슬 수 있고 와이퍼 등이 얼어붙어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어서다. 여름철도 마찬가지지만 겨울철엔 특히 실내주차장에 주차하는 게 좋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동차가 실내 주차장을 이용할 수 없는 형편이다. 실내에 주차할 여건이 되지 않을 땐 가급적 차량이 밀집해있고 햇빛이 드는 곳에 주차하자. 렌터카 전문기업 AJ렌터카는 23일 겨울철 야외주차 주의사항을 알렸다.


◆블랙박스는 끄거나 저전압모드로

날씨가 추워지면 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가 급증한다. 겨울철 출동이 잦아지는 가장 큰 이유는 ‘배터리 방전’인데 차량 성능이 갈수록 좋아짐에도 배터리 방전 건수는 오히려 늘어난다는 게 자동차 관련 업계의 주장이다.


AJ렌터카에 따르면 배터리 방전이 늘어나는 가장 큰 이유는 블랙박스의 보급이다. 차량용 블랙박스 사용자들은 블랙박스가가 배터리를 계속 소모해 자동차가 방전될 수 있다는 사실은 잘 모르거나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AJ렌터카는 자동차 배터리의 경우 낮은 온도에서 소모가 증가하는 특징이 있는 만큼, 블랙박스가 장착된 차량을 겨울철에 장기간 야외 주차할 경우 전원을 끄거나 저전압 차단기능이 포함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 눈 오는 날은 앞유리 사수


AJ렌터카는 눈이 온다는 예보가 있을 경우, 전날 미리 와이퍼를 세워두거나 전면유리에 커버를 씌우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눈이 와도 와이퍼와 유리가 같이 어는 것을 방지하고, 자동차 커버를 이용하면 유리창에 서리가 내려 결빙되는 것을 막아 다음 날 시야 확보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커버는 방수가 되거나 자외선 차단 기능, 블랙박스 시야가 확보되는 제품이 좋다. 커버가 없을 경우 얇은 이불이나 종이박스 등을 이용해 전면유리를 덮어 성에를 최소화 하자.
눈이 온 이후 염화칼슘을 이용해 제설 작업을 하거나 스프레이식 스노우체인을 사용할 경우, 차체에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조심하거나 바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 염화칼슘은 차체를 부식시키고 스프레이식 스노우체인은 얼룩이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디젤차량, 겨울철 특히 조심해야


디젤차량은 유종 특성 상 연료 동결현상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특히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키를 이용할 경우 키온상태(시동은 걸지 않았지만, 계기판에 불이 들어오는 상태)에서 돼지꼬리 모양의 예열 경고등이 소등 된 뒤 시도해야 한번에 시동이 걸린다.

만약, 연료가 동결되는 왁싱현상이 심해 시동이 걸리지 않을 경우, 무리하게 시도하지 말고 서비스센터에 연락하는 것이 좋다. 배터리 방전 등의 2차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연료 결빙방지 및 성능저하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료필터나 배터리 주변에 얇은 이불, 옷 등으로 싸 놓는 것도 방법이다. 다만, 과열로 화재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장거리 운행시에는 옷 등을 제거해야 한다.

정홍석 AJ렌터카 메인터넌스운영팀장은 “겨울철엔 실내에 주차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아파트 단지 내 지하주차장 부재 등으로 주중 내내 야외에 주차하고 주말에만 잠깐 사용하는 운전자가 의외로 많다"며 "이 경우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유리에 얼어붙은 눈을 치우느라 일정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3일에 한번씩은 시동을 걸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