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건설신기술로 지정된 제803호 신기술 시공 과정.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도막과 시트의 일괄시공’, ‘시트양면에 규사살포한 BAS시트’, ‘다층 디스크형 전압롤러’, ‘200m 롤형 시트적용’. /사진=국토부
이달의 건설신기술로 지정된 제803호 신기술 시공 과정.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도막과 시트의 일괄시공’, ‘시트양면에 규사살포한 BAS시트’, ‘다층 디스크형 전압롤러’, ‘200m 롤형 시트적용’. /사진=국토부
국토교통부는 백색 피이티(PET)필름을 라미네이팅한 피브이씨(PVC)시트에 반턱이음 구조를 적용한 저온열풍 3중 접합 옥상 방수 공법 등 5건을 ’이달의 건설신기술‘로 지정(제801호·제802호·제803호·제804호·제805호)했다고 26일 밝혔다.

건설신기술 지정 제도는 건설 기술 경쟁력 강화 및 민간의 기술개발 투자 유도를 위해 기존 기술을 개량하거나 새롭게 개발된 기술을 국토부 장관이 신기술로 지정하는 제도다. 신기술로 지정될 경우 건설공사에 활용토록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지난 1989~2016년 11월까지 총 805개의 건설신기술이 지정됐다.


제801호 신기술(‘워터튜브에 물을 채워 밀 장전하는 노천발파공법’)은 암반 발파 공사 시 폭약을 넣은 구멍에 물을 채우는 기술로 구멍에 빈 공간이 남아있는 경우에 폭약의 파괴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기술이다.

이 신기술은 폭약을 넣고 남은 공간에 물을 꽉 채워 폭약의 파괴력을 증대시켰다. 또 물속에서 폭파할 수 있는 내수성 화약을 사용해 향후 골프장이나 아파트 단지 기반 조성 공사 등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802호 신기술(‘백색 PET필름을 라미네이팅한 PVC시트에 반턱이음 구조를 적용한 저온열풍 3중 접합 옥상방수공법’)은 기존 방수시트 공법에서 시트 겹침부의 두께 증가, 바탕 고정의 불안정성, 시트 하단부의 습기 배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옥상 노출 방수 공법이다.

이 신기술은 시트 겹칩부의 마감을 계단식으로 구성해 겹침 부위의 두께를 줄였다. 또 고정패치를 이용해 시트를 바탕면에 단단히 고정했으며 벽체 시공 시 벨크로(접착식) 고정방식을 적용해 습기제거 기능도 부여했다.


시공 시간을 단축하고 시트 디자인이 다양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옥상 방수 시장에서 기술우위를 점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803호 신기술(‘기계를 이용해 도막과 시트를 동시에 접착 시공하는 복합교면방수공법(BAS공법’)은 기존 단일·단층 방수 공법으로는 방수층에 공기가 생겨 방수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해주는 신기술이다.


이 신기술은 방수 시공용 가압장치를 갖는 동력 기계장비를 이용해 접착제(고무아스팔트 접착씰)와 양면 샌드 시트 방수재를 동시에 압착 시공해 방수층에 공기가 발생하지 않아 방수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구조체의 부식방지가 중요한 장대교량에 널리 사용되고 시설물 유지관리비용도 절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804호 신기술(‘플랜지 파형강판을 사용해 지상에서 조립 모듈화한 수직구 시공기술’)은 수직구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가설재 설치 및 해체로 인해 발생하는 공사기간 장기화, 안전사고 위험성 증가의 문제점을 개선할 공법이다.

이 신기술은 기존 기술과는 달리 공장에서 플랜지 파형 강판으로 제작된 모듈화된 구조체 여러개를 동시에 조립해 수직구를 만들어 공사기간이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조립한 구조체를 인양해 작업하므로 높은 곳에서의 작업을 줄여 안전사고 위험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향후 수직구 시공현장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805호 신기술(‘입체구조 평면형상을 갖는 외부보강 내단열 금속판넬 볼트조립구조 물탱크 시공기술’)은 기존 물탱크의 복잡한 내부구조로 인해 유지관리가 어려운 점을 해결하는 물탱크 시공기술이다.

이 신기술은 물탱크가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물탱크 외부표면에 에이치(H)빔과 같은 보강재를 설치해 기존 내부보강재가 설치된 경우보다 공간이 넓어져 물탱크 내부 공간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유지관리도 편리해 향후 물탱크 제작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