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정보회사 듀오와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가 공동 운영하는 듀오휴먼라이프연구소에서 ‘미혼남녀의 출산 인식’을 조사 연구한 결과를 11일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미혼 1000명)의 62.6%는 결혼 후 2년 이내에 출산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인 후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응답은 17.8%를 차지했다. 출산 거부 비율이 전년(14.4%)에 비해 3.4%p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또 미혼남녀가 생각하는 평균 출산 시기는 결혼 후 ‘1년 9개월’이며, 희망 자녀수는 ‘1.9명’으로 집계됐다.
'2017 출산 인식 보고서', 미혼 10명 중 2명
세 자녀 이상을 희망하는 경우는 25~29세 14.2%, 30~34세 9%, 35~39세 8.2%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감소했다. 실제로 결혼 계획 연령과 희망 자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둘은 반비례 관계로 나타났다.

반면, 결혼 행복 기대감과 희망 자녀수는 정(+)의 관계였다. 혼인에 기대감이 높을수록 희망하는 자녀수가 증가했고, 혼인 기대감이 낮으면 희망 자녀수도 감소했다.


미혼 과반수(72.4%)는 맞벌이를 선호하며, 연령이 낮을수록(25~29세 80.4%, 30~34세 72.8%, 35~39세 67.5%) 부부가 같이 벌기를 원했다. 또한 대체로 고소득(5천만 이상 63.6%)보다는 저소득 그룹(2천만 미만 77.4%)일수록, 저학력(고졸 이하 64.6%)보다는 고학력 그룹(대학원졸 81.4%)일수록 맞벌이를 희망했다. 고학력 여성의 맞벌이 선호 경향(고졸 이하 59.3%, 대학원졸 82.8%)도 두드러졌다.

결혼 후 부모와 함께 살길 원하는 남녀는 10명 중 1명(13.1%)에 불과했다. 부모와 동거하려는 이유는 ‘자녀로서의 의무’(33.6%), ‘자녀 양육 부담 해소’(26.7%), ‘가족 문화 습득’(13.7%), ‘생활비 절약’(13%) 등이 있었다.


한편 미혼 다수는 저출산 문제를 심각(68.3%)하게 여기며, 국가의 출산 정책에 회의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현 정부의 저출산 정책이 출산 의지에 ‘부정적’이라는 답변이 남녀 각각 51.6%, 44.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보통’(39.8%), ‘긍정적이다’(12.2%) 순이었다.

저출산의 원인으로는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27.5%),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부담’(26.7%), ‘결혼의 지연과 기피 의식’(19.1%), ‘사회와 미래에 대한 두려움’(10.6%), ‘실효성 없는 국가 출산 정책’(8.7%) 등이 꼽혔다.


남성은 효과적인 출산 장려 정책으로 ‘출산 지원’(29.3%)과 ‘보육 지원’(29.3%), ‘주거 지원’(14.9%), ‘결혼 지원’(13.1%) 등을 차례로 택했다. 여성은 ‘보육 지원’(33.7%), ‘출산 지원’(26.7%), ‘주거 지원’(10.6%), ‘경력 단절 예방 지원’(10%) 순으로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특히 여성의 경우 고학력일수록 ‘경력 단절 예방 지원’(고졸 이하 3.4%, 대졸 9.2%, 대학원졸 22.4%)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25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남녀 1000명(남성 502명, 여성 498명)을 대상으로 2016년 11월 10일부터 11월 21일까지 실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