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스 물티슈' 사태, 소비자들… "아기 쓰는 걸로 장난" vs "정부의 농간"
김정훈 기자
3,898
공유하기
유한킴벌리의 하기스 아기물티슈 전제품과 그린핑거 아기물티슈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됐다고 식약처가 13일 발표한 가운데 소비자들 사이에서 이번 사태에 대한 반응이 엇갈리고 있어 눈길을 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3일 유한킴벌리가 제조·생산한 '하기스 퓨어 아기 물티슈' 등 물티슈 10개 제품에서 메탄올이 허용기준(0.002%)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에 0.003~0.004%의 메탄올이 비의도적으로 혼입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에 대해 판매를 중지하고 회수조치를 명령했다.
그러면서도 식약처는 문제가된 제품들에서 나온 메탄올 수치가 인체에 위해를 일으키는 수준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성인의 경우 메탄올 0.004%의 화장품을 매일 사용하더라도 건강에는 이상이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유한킴벌리는 식약처 발표직후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사과문을 개재했다.
사과문에는 "문제가 된 제품은 하기스 아기물티슈와 그린물티슈 아기물티슈 중 일부"라면서도 "13일 오전 10시부터 아기물티슈 전 품목을 회수하기로 했다. 해당 제품을 보유하고 계신 고객께서는 구매처, 구매일자, 개봉여부, 영수증 소지여부와 상관 없이 환불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원료 매입을 포함한 전 과정의 안전 체계를 다시 한번 점검해 고객보호에 더욱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우려와 불편을 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하지만 유한킴벌리의 공식사과에도 소비자들의 반발은 오히려 확산되고 있다.
아이디 sese****는 "기업이 돈만 밝히는 건가? 어린애기들 쓰는 걸... 믿고 쓰기 겁나네"라고 말했다.
아이디 dkrl****는 "애기들이 사용하는 제품은 정말 양심적으로 팔았으면 좋겠네요"라고 일침을 가했다.
아이디 kmk0****는 "도대체 왜 나라가 이지경인지 너무 슬프다. 물티슈조차 수입을 써야하나... 흠ㅠㅠ"이라며 아쉬운 심정을 토로했다.
반면 이번 사태를 두고 정부의 농간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아이디 ejhm****는 "우리나라는 메탄올 허용기준치가 0.002%고 미국은 5%다. 근데 지금 유한킴벌리가 0.004%로 불과 0.002% 초과한 걸로 걸렸다. 그리고 인체에 무해하다고 하는데 다들 너무 오바하는 것 같다. 이런 쓸데없는 기사 볼 시간에 국정에 더 관심을 갖는 게 났겠다"고 밝혔다.
아이디 stor****는 "다른 물티슈는 조사안하고 유한킴벌리만 파내는 이유가 궁금하다. 비교대상이 있을 법한 사건이고 당연히 다른 물티슈도 적합한지 알려줄 의무가 국가에겐 있는데 아직도 혈세로 엉뚱한 유신시대 짓거리만 하고 있는 꼴 같다. 특히나 엄마들에게 민감한 '아기'를 들먹여가며... 이렇게 발빠르고 일 잘하는 정부는 가습기 사건은 어쩜 그리 꽁꽁 묵혀놨던 건지"라고 정부를 비판했다.
오히려 식약처의 무능함을 지적하는 의견도 있었다.
아이디 iceb****는 "가습기 살균제, 치약, 물티슈 등 이런 제품들이 출시되기 전에 국민 건강에 적합한지 알아내는 것이 식약처 아닙니까? 기업들이 마구 팔아놓게 방관한 것이 식약처다"라고 말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3일 유한킴벌리가 제조·생산한 '하기스 퓨어 아기 물티슈' 등 물티슈 10개 제품에서 메탄올이 허용기준(0.002%)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에 0.003~0.004%의 메탄올이 비의도적으로 혼입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에 대해 판매를 중지하고 회수조치를 명령했다.
그러면서도 식약처는 문제가된 제품들에서 나온 메탄올 수치가 인체에 위해를 일으키는 수준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성인의 경우 메탄올 0.004%의 화장품을 매일 사용하더라도 건강에는 이상이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유한킴벌리는 식약처 발표직후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사과문을 개재했다.
![]() |
사진=유한킴벌리 홈페이지 캡처 |
그러면서 "원료 매입을 포함한 전 과정의 안전 체계를 다시 한번 점검해 고객보호에 더욱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우려와 불편을 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하지만 유한킴벌리의 공식사과에도 소비자들의 반발은 오히려 확산되고 있다.
아이디 sese****는 "기업이 돈만 밝히는 건가? 어린애기들 쓰는 걸... 믿고 쓰기 겁나네"라고 말했다.
아이디 dkrl****는 "애기들이 사용하는 제품은 정말 양심적으로 팔았으면 좋겠네요"라고 일침을 가했다.
아이디 kmk0****는 "도대체 왜 나라가 이지경인지 너무 슬프다. 물티슈조차 수입을 써야하나... 흠ㅠㅠ"이라며 아쉬운 심정을 토로했다.
반면 이번 사태를 두고 정부의 농간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아이디 ejhm****는 "우리나라는 메탄올 허용기준치가 0.002%고 미국은 5%다. 근데 지금 유한킴벌리가 0.004%로 불과 0.002% 초과한 걸로 걸렸다. 그리고 인체에 무해하다고 하는데 다들 너무 오바하는 것 같다. 이런 쓸데없는 기사 볼 시간에 국정에 더 관심을 갖는 게 났겠다"고 밝혔다.
아이디 stor****는 "다른 물티슈는 조사안하고 유한킴벌리만 파내는 이유가 궁금하다. 비교대상이 있을 법한 사건이고 당연히 다른 물티슈도 적합한지 알려줄 의무가 국가에겐 있는데 아직도 혈세로 엉뚱한 유신시대 짓거리만 하고 있는 꼴 같다. 특히나 엄마들에게 민감한 '아기'를 들먹여가며... 이렇게 발빠르고 일 잘하는 정부는 가습기 사건은 어쩜 그리 꽁꽁 묵혀놨던 건지"라고 정부를 비판했다.
오히려 식약처의 무능함을 지적하는 의견도 있었다.
아이디 iceb****는 "가습기 살균제, 치약, 물티슈 등 이런 제품들이 출시되기 전에 국민 건강에 적합한지 알아내는 것이 식약처 아닙니까? 기업들이 마구 팔아놓게 방관한 것이 식약처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