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스마트폰.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스마트폰은 사용하지 않고 옆에 놓아두기만 해도 이용자 주의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요미우리 신문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홋카이도대학 가와하라 준이치로 교수는 스마트폰 사용자 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험 결과를 지난해 말 일본심리학회 온라인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가와하라 교수는 실험 참가자들이 PC모니터에 뜬 여러 가지 모양의 도형 중에서 'T'자 모양의 도형을 찾아내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했다. 참가자 38명을 2개 조로 나눠 20명으로 이뤄진 한 조에는 모니터 옆에 참가자 스마트폰을 놓게 했다. 나머지 18명으로 이뤄진 조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크기의 메모장을 놓은 후 T도형을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했다.

스마트폰을 놓아둔 조의 참가자가 해당 도형을 찾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3.66초였다. 이에 비해 메모장을 놓아둔 조 참가자는 평균 3.05초 만에 찾아냈다. 스마트폰을 놓아둔 쪽이 메모장을 놓아둔 쪽보다 약 20% 더 걸렸다.


가와하라 교수는 "스마트폰 때문에 주의가 분산돼 시간이 더 걸린 것 같다"고 말했다. 이메일 등이 오지 않을까 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스마트폰에 신경이 간다는 것으로 분석했다.

가와하라 교수는 각종 시험을 앞둔 수험생은 공부할 때 스마트폰이 보이지 않도록 떨어진 곳에 두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