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자영업자 대출 180조원.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시중은행 자영업자 대출 180조원.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지난해 시중은행의 자영업자 대출이 180조원을 돌파하며 6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말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180조4197억원으로 2010년 말 96조6396억원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에만 16조2506억원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붐으로 대출이 폭증했던 2015년의 22조7105억원보다는 줄었지만 2010년 이래로 두 번째로 많은 연간 증가액이다.

자영업자들은 은행에서 돈을 빌려 부동산임대업, 음식점, 소매업 등의 사업에 뛰어들면서 국내 자영업자수는 지난해 10월 말을 기준으로 약 570만명에 달한다.


국세청의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3000명이 개인영업점을 새로 차린 반면, 매일 2000명이 폐엽해 하루 1000명씩 자영업자들이 증가했다.

문제는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자영업자의 빚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실제 자영업자 대출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2012년 이래로 5대 은행의 자영업자 대출은 매년 10조원 넘게 증가했다. 특히 지난 2015~2016년의 증가액은 약 40조원으로 지난 6년간 증가액(약 84조원)의 46.5%를 차지할 정도로 증가세를 가팔랐다.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15년 자영업자 가구의 빈곤율(중위소득의 50% 미만인 비율)은 12.9%로 2014년(12.3%)보다 0.6%포인트 높아졌다. 또 통계청이 지난해 말 발표한 '자영업 현황분석'에 따르면 전년 전체 자영업체의 21.2%는 월 매출이 100만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처럼 자영업자 대출 증가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있는 가운데 신용대출도 지난해 증가세를 이어갔다.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규모는 지난해 12월 말 90조1500억원으로 지난해 말(84조3349억원)보다 5조8151억원이 증가했다. 이는 2015년 증가액(7조839억원)을 제외하고 관련 통계를 알 수 있는 2010년 이래도 두 번째로 많은 증가액이다.


전문가들은 자영업자의 상당수가 매출부진 등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출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