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2호선 화재, 민주당 "기다리라는 말은 대한민국에서 금기어가 됐다… 경각심 되새겨야"
김나현 기자
3,011
공유하기
![]() |
지하철 2호선 화재. 오늘(22일) 오전 지하철 2호선 잠실역에서 잠실새내역(구 신천역)으로 향하던 열차에서 화재가 발생해 역 관계자들이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지하철 2호선 화재와 관련, 민주당은 오늘(22일) "기다리라는 말은 대한민국에서 금기어가 됐다"고 말했다. 박경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오늘 오전 6시30분, 지하철 2호선 신천역으로 진입하던 열차에서 화재가 발생해 승객들이 자력으로 열차 문을 열고 대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박 대변인은 "당시 큰 일이 아니니 기다리라는 내용의 안내 방송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는데, 갑자기 불이 꺼진 열차 밖에서 연기가 나는 것을 발견한 승객들이 직접 비상 코크 레버를 돌려 열차 문을 열고 스크린도어를 밀어 대피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승객들은 자력으로 대피한 후 빠져나온 열차에서 이내 불꽃이 튀는 화재 현장을 목격했다고 한다. 또 한 번의 참사가 벌어질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세월호 참사 이후 기다리라는 말은 이제, 우리 대한민국에서 금기어가 됐다. 안전사고에 있어서만큼은 불신의 사회가 돼 버린 것이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 두 번 세 번 되새겨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오늘 오전 6시28분쯤 지하철 2호선 잠실역에서 잠실새내역(구 신천역)으로 향하던 열차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차장은 열차에 단전, 연기 발생 등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고 6시28분쯤 "연기가 발생하고 있다. 확인 중이니 기다려 달라"며 안내 방송을 했다.
차장은 열차를 세우고 육안으로 열차 상태를 확인, 6시30분쯤 비상 대피 안내 방송을 했다. 그러나 승객들은 비상 코크를 조작, 열차 문과 차단문을 열고 빠져나간 상황이었다. 일부 승객들은 차장이 '기다리라'고 말하고, 즉각 대피 조치가 없었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그러나 서울메트로 측은 "사고 발생 직후에는 연기가 발생하니 기다려 달라고 말한 것은 맞지만 (세월호 당시처럼) 가만히 있으라는 식으로 말한 것은 아니다.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동안) 기다려 달라고 했는데 시민들이 기다리지 않고 (문을) 열고 나간 것"이라고 항변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