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 사장이 지난 해 9월 서울 태평로 삼성본관 대회의실에서 갤럭시노트7 관련 품질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앞서 고개숙여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스1 DB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 사장이 지난 해 9월 서울 태평로 삼성본관 대회의실에서 갤럭시노트7 관련 품질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앞서 고개숙여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스1 DB
갤럭시노트7의 발화 원인이 드디어 오늘 발표된다.

삼성전자는 23일 5개월간 끌어 온 '갤럭시노트7'의 발화 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을 밝히며 사태를 마무리지을 전망이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은 오늘 오전 10시부터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다목적홀에서 국내외 언론을 상대로 기자 간담회를 열고 노트7 배터리 발화 원인 및 재발 방지 대책을 밝힌다.


이날 간담회에는 삼성전자와 별도로 노트7 발화 원인 분석을 진행한 미국의 안전인증 회사 UL 관계자도 참석한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에서 시행한 조사 결과는 오는 25일 발표될 예정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발표에 앞서 "조사 결과 스마트폰 하드웨어 설계, 소프트웨어 결함보다는 배터리 자체 결함이 있었던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해 9월 고 사장은 발화 원인으로 삼성SDI의 배터리를 특정했다. 하지만 중국 ATL의 새 배터리를 탑재한 제품 역시 발화 현상이 나타나 결국 삼성전자는 10월 11일 노트7 단종을 결정했다. 섣부른 판단으로 단종이란 최악의 상황을 맞은 삼성전자의 공식 원인 발표가 지연되면서 그동안 업계에서는 여러 분석이 쏟아졌다.

그간 거론됐던 발화 원인의 핵심은 배터리였다. 고용량 일체형 배터리에 적합하지 않은 스마트폰 설계 및 과열된 배터리의 온도를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시스템'의 오류 등이 제기됐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이날 발표는 향후 갤럭시S8의 성공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면서 "조사 결과를 어디까지 설득력 있게 설명할 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 배터리 발화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신뢰성 테스트'를 대폭 강화하는 등의 재발 방지 대책도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