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 시행계획 개편… 저소득층 지원 확대
허주열 기자
3,915
공유하기
한국장학재단이 최근 학생·학부모의 등록금 부담 완화를 위한 ‘2017 1학기 국가장학금 시행계획’을 확정·발표했다.
한국장학재단에 따르면 올해부터는 국가장학금 신청자들의 이해도를 증진하기 위해 유형별 명칭이 변경된다. 소득연계형 국가장학금인 Ⅰ유형은 ‘학생직접지원형’으로, 대학자체 노력과 연계해 지원하는 Ⅱ유형은 ‘대학연계지원형’으로 명칭을 변경해 국가장학금의 유형별 특징과 차이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다.
다만 기존 수혜자들의 혼란방지를 위해 당분간 신·구 명칭을 병기해 사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유성엽 국민의당 의원 및 다수 의원들의 제도개선 권고에 따라 등록금 부담 완화가 필요한 저소득층과 다자녀 가정의 학생들에 대한 지원을 확대했다.
우선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저소득층 학생의 어려운 학습 환경을 고려해 성적기준 완화의 일환으로 ‘C 학점 경고제’를 기존 1회에서 2회로 늘렸다. 이에 따라 학기별 성적이 70~80점 미만인 경우 경고 후 재학 중 2회까지 국가장학금이 지원된다.
다자녀(셋째 아이 이상) 장학금은 지원대상이 4학년까지 확대돼 수혜인원이 지난해 5만4000명에서 올해는 6만5000면으로 1만1000여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인재 장학금의 경우에는 선발 기준을 완화해 대학의 다양한 지방인재발굴 및 자율적 양성 지원을 강화한다.
이에 따라 신입생의 경우 성적 기준 요건을 내신·수능(2개영역 이상) 2등급에서 3등급으로 완화하고 계속 지원 요건도 직전학기 성적기준 85점 이상을 80점 이상으로 낮춰 학생들의 성적 부담을 완화했다.
이외에도 대학별 발전계획에 따라 육성하고자 하는 ‘자율육성 인재’ 분야의 경우 선발 비율을 종전 30%에서 50%로 확대해 대학의 자율성을 확대한다.
안양옥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은 “국가장학금의 명칭 보완과 C학점 경고제 확대 등으로 저소득층 학생들의 부담을 낮추고 국가장학금이 학생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저소득층 학생들의 안정적인 학업여건 마련을 위해 생활비 지원 방안 등 다양한 연구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국장학재단에 따르면 올해부터는 국가장학금 신청자들의 이해도를 증진하기 위해 유형별 명칭이 변경된다. 소득연계형 국가장학금인 Ⅰ유형은 ‘학생직접지원형’으로, 대학자체 노력과 연계해 지원하는 Ⅱ유형은 ‘대학연계지원형’으로 명칭을 변경해 국가장학금의 유형별 특징과 차이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다.
다만 기존 수혜자들의 혼란방지를 위해 당분간 신·구 명칭을 병기해 사용할 예정이다.
![]() |
이와 함께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유성엽 국민의당 의원 및 다수 의원들의 제도개선 권고에 따라 등록금 부담 완화가 필요한 저소득층과 다자녀 가정의 학생들에 대한 지원을 확대했다.
우선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저소득층 학생의 어려운 학습 환경을 고려해 성적기준 완화의 일환으로 ‘C 학점 경고제’를 기존 1회에서 2회로 늘렸다. 이에 따라 학기별 성적이 70~80점 미만인 경우 경고 후 재학 중 2회까지 국가장학금이 지원된다.
다자녀(셋째 아이 이상) 장학금은 지원대상이 4학년까지 확대돼 수혜인원이 지난해 5만4000명에서 올해는 6만5000면으로 1만1000여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인재 장학금의 경우에는 선발 기준을 완화해 대학의 다양한 지방인재발굴 및 자율적 양성 지원을 강화한다.
이에 따라 신입생의 경우 성적 기준 요건을 내신·수능(2개영역 이상) 2등급에서 3등급으로 완화하고 계속 지원 요건도 직전학기 성적기준 85점 이상을 80점 이상으로 낮춰 학생들의 성적 부담을 완화했다.
이외에도 대학별 발전계획에 따라 육성하고자 하는 ‘자율육성 인재’ 분야의 경우 선발 비율을 종전 30%에서 50%로 확대해 대학의 자율성을 확대한다.
안양옥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은 “국가장학금의 명칭 보완과 C학점 경고제 확대 등으로 저소득층 학생들의 부담을 낮추고 국가장학금이 학생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저소득층 학생들의 안정적인 학업여건 마련을 위해 생활비 지원 방안 등 다양한 연구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