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문 동굴. 한국인 유전자. /자료=뉴스1(UNIST 제공)
악마의 문 동굴. 한국인 유전자. /자료=뉴스1(UNIST 제공)

악마의 문 동굴에서 발견된 7700여년 전 동아시아인 유전체가 한국인 유전자 구성과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늘(2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 게놈연구소와 영국·러시아·독일 등 국제 연구팀은 두만강 위쪽 러시아 극동지방의 '악마의 문 동굴(Devil’s Gate cave)'에서 발견된 7700년 전 동아시아인 유전체(게놈·genome)를 해독하고 슈퍼컴퓨터로 분석했다고 밝혔다.

고고학자, 생물학자, 게놈학자로 구성된 국제 연구팀은 9000년부터 7000년 전까지 인간이 거주했던 악마의 문 동굴에서 5명의 뼈를 확보하고, 거기서 추출된 DNA를 이용해 게놈을 해독했다.


악마의 문 동굴은 한국 역사에서 고구려, 동부여, 북옥저가 자리했던 것으로 알려진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분석 결과 악마의 문 동굴인은 한국인 유전자처럼 갈색 눈과 삽 모양 앞니 유전자를 가진 수렵채취인으로 밝혀졌다. 또 이들은 현대 동아시아인들의 전형적인 유전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우유 소화를 못하는 유전변이와 고혈압에 약한 유전자, 몸 냄새가 적은 유전자, 마른 귓밥 유전자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 동양인에게 흔히 발견되는 얼굴이 붉혀지는 유전변이를 가지지는 않은 것으로도 판명됐다.


또한 악마의 문 동굴인과 다른 고대인, 현대 한국인의 게놈을 비교하자 동아시아 현대인은 조상들의 유전적 흔적을 지속적으로 간직한 것으로 드러났다.

악마의 문 동굴. 한국인 유전자. /자료=뉴스1(UNIST 제공)
악마의 문 동굴. 한국인 유전자. /자료=뉴스1(UNIST 제공)

연구 실무책임자인 전성원 UNIST 게놈연구소 연구원은 "동아시아에서는 적어도 최근 8000년까지 외부인의 유입 없이 인족끼리 유전적 연속성을 가진다"며 "농업같은 혁명적인 신기술을 가진 그룹이 기존 그룹을 정복·제거하는 대신 기술을 전파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생활양식을 유지했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게놈 종류가 같다는 것은 모계가 똑같다는 것을 뜻한다"며 "두 인류의 오랜 시간 차이를 고려해도 매우 가까운 편으로 악마의 문 동굴인은 한국인의 조상과 거의 같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종화 교수는 이에 대해 "중국(한족)과 일본, 한국을 아우르는 거대한 인구집단이 이처럼 동질성이 큰 것은 농업기술 등을 통한 문명 발달로 급격하게 팽창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