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전경련 공식 탈퇴… 4대그룹 이탈 가속화
허주열 기자
3,115
공유하기
삼성전자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를 공식 탈퇴한다. 4대그룹 중 전경련을 공식적으로 탈퇴한 것은 LG에 이어 삼성이 두번째다.
6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전경련 탈퇴원을 제출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말 국회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앞으로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공식 선언한지 두달 만이다.
삼성그룹의 핵심계열사인 삼성전자의 전경련 탈퇴를 시작으로 다른 삼성 계열사의 전경련 탈퇴 러시도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그룹은 삼성전자 포함 15개 계열사가 전경련에 가입돼있다.
앞서 LG그룹은 지난해 12월 말 4대그룹 중 가장 먼저 전경련에 탈퇴서를 제출했다. 아직 탈퇴서를 제출하지 않은 SK그룹과 현대차그룹도 올해 전경련 회비를 내지 않고 탈퇴 시기와 방법을 저울질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은 지난해 말 정경유착의 진원지로 지목된 이후 조직 쇄신안 마련에 나섰지만 아직 마땅한 묘안을 찾지 내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경련 전체 연간 회비의 70%가량을 부담하는 4대그룹의 탈퇴가 줄을 이으며 존속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6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전경련 탈퇴원을 제출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말 국회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앞으로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공식 선언한지 두달 만이다.
![]() |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전경련 회관. /사진=허주열 기자 |
삼성그룹의 핵심계열사인 삼성전자의 전경련 탈퇴를 시작으로 다른 삼성 계열사의 전경련 탈퇴 러시도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그룹은 삼성전자 포함 15개 계열사가 전경련에 가입돼있다.
앞서 LG그룹은 지난해 12월 말 4대그룹 중 가장 먼저 전경련에 탈퇴서를 제출했다. 아직 탈퇴서를 제출하지 않은 SK그룹과 현대차그룹도 올해 전경련 회비를 내지 않고 탈퇴 시기와 방법을 저울질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은 지난해 말 정경유착의 진원지로 지목된 이후 조직 쇄신안 마련에 나섰지만 아직 마땅한 묘안을 찾지 내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경련 전체 연간 회비의 70%가량을 부담하는 4대그룹의 탈퇴가 줄을 이으며 존속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