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터널 내 사고지점 알리는 '위치번호판' 설치 확대
김노향 기자
2,294
공유하기
서울시는 터널 내부에서 화재나 차량사고 발생 시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는 ‘위치번호판’ 설치를 완료했다.
터널 내부 위치번호판 설치는 시민의 제안에 따라 전문가 의견을 종합해 추진됐다. 2015년 4월 남산1호터널과 홍지문터널에 시범설치하고 운영했다. 이번에는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 연장 200m 이상 터널 32개소에 50m 간격으로 위치번호판 1313개 설치를 완료했다.
위치번호판은 파란색 바탕에 흰색 글씨로 제작했다. 터널 이름은 한글과 영문으로 병기하고 바로 밑에 위치번호(서울시청 방향은 짝수, 반대 방향은 홀수)를 표시해 외국인도 사고지점을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위치번호판의 정보(XY좌표)를 119지령시스템에 입력, 터널이름과 번호만으로도 상세한 위치 확인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이로써 기존 119지령시스템에 구축된 MDT(차량정보단말기)를 통해 현장출동차량 단말기에서 터널 내 신고자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게 됐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이전보다 대응시간이 단축돼 그만큼 시민의 생명과 재산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
/사진=삼성물산 |
터널 내부 위치번호판 설치는 시민의 제안에 따라 전문가 의견을 종합해 추진됐다. 2015년 4월 남산1호터널과 홍지문터널에 시범설치하고 운영했다. 이번에는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 연장 200m 이상 터널 32개소에 50m 간격으로 위치번호판 1313개 설치를 완료했다.
위치번호판은 파란색 바탕에 흰색 글씨로 제작했다. 터널 이름은 한글과 영문으로 병기하고 바로 밑에 위치번호(서울시청 방향은 짝수, 반대 방향은 홀수)를 표시해 외국인도 사고지점을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위치번호판의 정보(XY좌표)를 119지령시스템에 입력, 터널이름과 번호만으로도 상세한 위치 확인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이로써 기존 119지령시스템에 구축된 MDT(차량정보단말기)를 통해 현장출동차량 단말기에서 터널 내 신고자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게 됐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이전보다 대응시간이 단축돼 그만큼 시민의 생명과 재산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노향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재테크부 김노향 기자입니다. 투자와 기업에 관련한 많은 제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