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불출석. 오늘 탄핵심판 최종변론. 사진은 박근혜 대통령. /사진=임한별 기자
헌재 불출석. 오늘 탄핵심판 최종변론. 사진은 박근혜 대통령. /사진=임한별 기자

여야는 박근혜 대통령이 오늘(27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사건 최종변론 기일에 불출석하기로 결정한 데 대해 입장 차를 나타냈다. 야당은 "박근혜 대통령 본인이 결정할 문제다"라고 선을 그은 반면 야당은 "최악의 대통령의 최악의 태도다"라고 비판했다.

김명연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은 어제(26일) 논평을 통해 "박 대통령이 최종변론에 불출석 하는 것은 본인과 청와대가 결정할 일이다. 당이 이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얘기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박 대통령은) 검찰 조사도 국민에게 약속했다 번복하고, 특검 대면조사도 차일피일 미뤘다. 결국 헌재에도 불출석하기로 했다. 시간을 끄는 것이 목표였다는 것이 드러난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1인 매체를 불러 일방적인 기자 간담회를 한 것 외에 특검과 헌재 어떤 곳에도 나오지 않아 사실관계를 따지는 일을 단 한번도 하지 않은 셈이다. 정말 최악의 대통령의 최악의 태도"라고 밝혔다.


김경진 국민의당 수석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통해 "국민에 의해 선출된 대통령이 헌재에 출석해 질문을 받고, 당당히 답변을 하지 못하는 반면 정규재 TV 등을 통해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만 각색해 장외에서 억지 인터뷰를 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국민 모두가 부끄러움을 금할 길이 없다. 이제라도 대통령은 신속히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길 바란다"고 밝혔다.


오신환 바른정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박 대통령이 헌재 출석을 거부한 것은 헌법과 법률에 따른 준엄한 절차 대신 마치 여론전에 대한 유불리만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 대변인은 "무엇이 두려워 그토록 헌재 심문을 피하고 있는 것인지 답답할 노릇이다. 지금이라도 불출석 결정을 재고해 법치주의의 부름에 응답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추혜선 정의당 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통해 "박 대통령은 집권 4년 동안 특유의 제왕적 태도와 불통을 마지막까지 보여 줬다. 이는 국민을 상대로 '갈 데까지 가보자'는 선전포고와 다를 바 없다. 헌재 최종변론에 나오기를 거부하며 스스로 소명 기회를 포기한 것"이라고 말했다.

추 대변인은 "헌재는 탄핵심판을 조속히 내려야 할 것이다. 자진해서 받겠다던 특검 조사에도 비협조하고, 헌재 최종변론에도 불출석한 대통령에게서 더 이상 들을 변명거리는 없다. 국민들은 탄핵 정국을 늦지 않게 매듭짓기를 원한다"고 밝혔다.

앞서 박 대통령 측 대리인단은 이날 헌재에 박 대통령의 탄핵심판 최종변론 불출석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 대리인단은 박 대통령의 불출석 사유를 따로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