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S토리] '비은행 신용대출 급증' 주의보
서대웅 기자
2,361
공유하기
보험사, 신용카드사 등 기타 금융기관의 가계신용대출 잔액이 급속도로 불어났다. 은행은 물론 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기관의 대출 문턱을 넘지 못한 가계가 대출받기 용이한 기타금융기관의 신용대출을 이용했다는 분석이다. 신용대출의 경우 금리 변동이 취약해 앞으로 이들의 대출 부실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보험사·카드사·연금기금·공적금융기관 등의 기타금융기관이 실행한 가계신용대출은 지난해 말 기준 362조8841억원으로 나타났다. 전 분기(9월 말)보다 15조8726억원 늘었다. 2015년 말(325조5931억원) 대비 11.45%(37조2910억원) 증가했으며 2014년 말(279조2530억원)과 비교하면 2년 새 23.04%(83조6311억원)나 급증한 수준이다.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잔액은 한은이 매분기 발표하는 ‘가계신용’ 자료에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한은이 최근 발표한 ‘2016년 4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신용(가계대출+카드사 판매신용)은 역대 최고치인 1344조3000억원으로 집계됐지만 비은행예금취급기관으로 포함이 안되는 금융기관이 있어 대출규모는 더 클 것으로 금융권은 분석했다.
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상호금융·새마을금고·우체국 등 비은행예금기관의 기타대출(신용대출) 잔액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이들이 실행한 기타대출은 172조5572억원으로 전년 대비 15.69%(23조4037억원) 늘었으며 2년 전보다는 36.96%(46조5710억원)나 급증했다.
이는 시중은행의 기타대출액과도 별다른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은행이 실행한 기타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174조8562억원으로 같은 기간 비은행예금기관의 기타대출 잔액보다 2조3000억원 정도 높은 수치다. 2014년 말 그 차이는 22조8943억원이었으나 2015년(12조8458억원)을 거치며 지난해 말 2조원대까지 좁혀진 것이다. 앞으로 제2금융권을 이용하는 신용대출액이 은행을 앞지를 것으로 분석되는 이유다.
◆신용대출, 시장금리 변동에 취약… ‘부실 뇌관’ 우려
문제는 신용대출은 단기 시장금리 변동의 영향을 받아 금리변동 위험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특히 금리변동 리스크에 취약한 차주는 은행권보다 비은행권에 더 많다. 한은이 올 초 발행한 ‘2016년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은행권의 취약차주 대출비중은 3.7%에 불과한 반면 비은행권은 10.0%로 은행보다 3배가량 높았다. 여신전문금융회사의 경우 15.8%에 달했으며 저축은행은 32.3%나 됐다. 앞으로 취약차주의 비은행의 신용대출 이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제2금융권 취약차주 비중은 더 높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나아가 제2금융권 가계대출 이용자 가운데 다중채무자 비중이 높아 경기침체가 지속되면 부실 가능성이 커져 우려를 키운다. 한은의 같은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 비중은 30.7%에 이른다. 또 제2금융권의 대출금리는 앞으로 더 오를 전망이어서 저신용·저소득층이면서 다중채무자인 제2금융권 가계대출 이용자의 대출상환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제2금융권도 대출심사를 강화하는 만큼 리스크에 취약한 차주에 대한 금리는 더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지금처럼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에선 기존 제2금융권을 이용했던 가계의 상환능력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가계부채 증가에 문제가 있다는 건 누구나 동의하지만 중요한 건 금융시장에서 대출수요가 왜 발생했는지를 살펴야 하는 점”이라며 “대출 수요가 명백히 있는 데도 인위적으로 막다보니 고금리 제2금융권의 대출이 급증하는 등 부작용이 일어난다. 대출 고리를 무조건 막기보다 다각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보험사·카드사·연금기금·공적금융기관 등의 기타금융기관이 실행한 가계신용대출은 지난해 말 기준 362조8841억원으로 나타났다. 전 분기(9월 말)보다 15조8726억원 늘었다. 2015년 말(325조5931억원) 대비 11.45%(37조2910억원) 증가했으며 2014년 말(279조2530억원)과 비교하면 2년 새 23.04%(83조6311억원)나 급증한 수준이다.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잔액은 한은이 매분기 발표하는 ‘가계신용’ 자료에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한은이 최근 발표한 ‘2016년 4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신용(가계대출+카드사 판매신용)은 역대 최고치인 1344조3000억원으로 집계됐지만 비은행예금취급기관으로 포함이 안되는 금융기관이 있어 대출규모는 더 클 것으로 금융권은 분석했다.
![]() |
/사진=이미지투데이 |
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상호금융·새마을금고·우체국 등 비은행예금기관의 기타대출(신용대출) 잔액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이들이 실행한 기타대출은 172조5572억원으로 전년 대비 15.69%(23조4037억원) 늘었으며 2년 전보다는 36.96%(46조5710억원)나 급증했다.
이는 시중은행의 기타대출액과도 별다른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은행이 실행한 기타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174조8562억원으로 같은 기간 비은행예금기관의 기타대출 잔액보다 2조3000억원 정도 높은 수치다. 2014년 말 그 차이는 22조8943억원이었으나 2015년(12조8458억원)을 거치며 지난해 말 2조원대까지 좁혀진 것이다. 앞으로 제2금융권을 이용하는 신용대출액이 은행을 앞지를 것으로 분석되는 이유다.
◆신용대출, 시장금리 변동에 취약… ‘부실 뇌관’ 우려
문제는 신용대출은 단기 시장금리 변동의 영향을 받아 금리변동 위험에 취약하다는 점이다. 특히 금리변동 리스크에 취약한 차주는 은행권보다 비은행권에 더 많다. 한은이 올 초 발행한 ‘2016년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은행권의 취약차주 대출비중은 3.7%에 불과한 반면 비은행권은 10.0%로 은행보다 3배가량 높았다. 여신전문금융회사의 경우 15.8%에 달했으며 저축은행은 32.3%나 됐다. 앞으로 취약차주의 비은행의 신용대출 이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여 제2금융권 취약차주 비중은 더 높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나아가 제2금융권 가계대출 이용자 가운데 다중채무자 비중이 높아 경기침체가 지속되면 부실 가능성이 커져 우려를 키운다. 한은의 같은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 비중은 30.7%에 이른다. 또 제2금융권의 대출금리는 앞으로 더 오를 전망이어서 저신용·저소득층이면서 다중채무자인 제2금융권 가계대출 이용자의 대출상환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제2금융권도 대출심사를 강화하는 만큼 리스크에 취약한 차주에 대한 금리는 더 높아질 것이란 분석이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지금처럼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에선 기존 제2금융권을 이용했던 가계의 상환능력이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가계부채 증가에 문제가 있다는 건 누구나 동의하지만 중요한 건 금융시장에서 대출수요가 왜 발생했는지를 살펴야 하는 점”이라며 “대출 수요가 명백히 있는 데도 인위적으로 막다보니 고금리 제2금융권의 대출이 급증하는 등 부작용이 일어난다. 대출 고리를 무조건 막기보다 다각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