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 경고그림’ 도입 효과 톡톡… 3개월 연속 판매량 감소
허주열 기자
1,615
공유하기
흡연 경고그림이 도입된 이후 담배 판매량이 3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담배 판매량은 지난해 11월 3억1000만갑에서 ▲2016년 12월 2억9000만갑 ▲2017년 1월 2억8000만갑 ▲2017년 2월 2억4000만갑으로 지속적으로 줄었다.
특히 지난달 담배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14.0%, 담뱃값 인상 전인 2014년 동월 대비로는 13.4% 감소했다.
지난달 반출량은 2억3000만갑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7% 줄었다. 2014년 동월 대비로는 17.2% 감소했다.
이는 정부의 담뱃값 인상(2015년 1월1일 2000원), 금연치료 지원, 금연 캠페인 등 흡연율 감소를 위한 다각적인 정책이 시너지를 일으킨 결과로 풀이된다.
담배 판매량은 2014년 43억6000만갑에서 가격을 인상한 2015년 33억3000만갑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36억6000만갑으로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폐암, 후두암, 구강암 등과 관련된 10종의 흡연 경고그림을 전면 도입하면서 다시 담배 판매량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흡연 경고그림이 도입된 이후 반출량 감소세가 지속되고 금연 클리닉 등록자 수도 증가하고 있어 3월 이후 담배 판매량도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1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담배 판매량은 지난해 11월 3억1000만갑에서 ▲2016년 12월 2억9000만갑 ▲2017년 1월 2억8000만갑 ▲2017년 2월 2억4000만갑으로 지속적으로 줄었다.
특히 지난달 담배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14.0%, 담뱃값 인상 전인 2014년 동월 대비로는 13.4% 감소했다.
지난달 반출량은 2억3000만갑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7% 줄었다. 2014년 동월 대비로는 17.2% 감소했다.
![]() |
/사진=뉴스1 |
담배 판매량은 2014년 43억6000만갑에서 가격을 인상한 2015년 33억3000만갑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36억6000만갑으로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폐암, 후두암, 구강암 등과 관련된 10종의 흡연 경고그림을 전면 도입하면서 다시 담배 판매량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흡연 경고그림이 도입된 이후 반출량 감소세가 지속되고 금연 클리닉 등록자 수도 증가하고 있어 3월 이후 담배 판매량도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