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자료사진=뉴시스
대우조선해양 /자료사진=뉴시스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이 정부의 추가 지원에 따른 고통분담 요구에 대해 "노사정 ·채권단 4자 협의체를 만들어 방법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대우조선 노조는 24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최근 회사를 통해 10% 임금 삭감에 대해 전달받았고, 이런 요구에 대해 충분한 이유가 있음을 부정하지 않는다"면서도 "이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노·사·정·채권단으로 구성된 4자협의체에서 함께 고민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임금삭감 등 고통분담을 강제집행하는 것보단 이해관계자 간 동의와 공감대가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앞서 정부와 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채권단은 지원을 전제로 대우조선 임직원들에게도 추가적인 고통분담을 요구했다. 직원수는 지난해 말 기준 1만443명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9000명 이하로, 임금 역시 지난해 대비 25% 더 감소한 6400억원 수준을 만들 것을 요구했다. 이에 회사측은 지난 22일 노동조합을 만나 전 임직원의 임금 10% 반납안을 제시했다.

대우조선 노조는 정부와 채권단의 고통분담 요구에 대해 "나름의 충분한 이유가 있음을 부정하지 않는다"고 했지만 강제집행은 안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15년부터 시행된 정상화 과정에서 이미 많은 부분의 고통을 분담하고 있는 점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노조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2015년 9월 임원들이 20~30% 임금을 반납한데 이어 지난해 7월부터는 사무직 직원들도 10~15%의 임금을 반납하고 있다. 사무직의 경우 올해 들어서는 임금을 정상화하는 대신 한달간 순환 무급휴직에 들어가는 식으로 임금을 반납하고 있다. 생산직은 잔업 특근 등이 축소되면서 임금이 줄었다. 생산직은 임금구조가 기본급이 31% 정도로 낮아 사실상 수당으로 임금을 보전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