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부가 쉽게 날 것 같았던 금호타이어 매각전이 안갯속 국면으로 빠져들었다.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이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20일 안에 SI(전략적 투자자)를 확보하면 컨소시엄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기 때문이다.


채권단이 더블스타와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측과의 추후 법적 문제를 피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해석되지만 광주·전남지역 경제계를 중심으로 시민사회단체, 대선주자, 광주시, 지역 정치권이 나서 금호타이어 해외 매각 반대, 채권단의 공정한 룰 도입 등을 강력 촉구하는 릴레이 성명을 내놓은 것도 채권단이 컨소시엄 허용 불가라는 당초의 입장에서 한발짝 물러난 것으로도 풀이된다.

그러나 지역민들은 아쉬움을 지적한다.

지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는 금호타이어 매각 문제를 달랑 성명서 한 장 내놓고 넋놓은 채 결과만을 기다리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나중 결과에 따라 할 만큼 했다는 ‘면피성’이나 ‘생색내기’ 차원의 성명서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지역 경제에 미치는 금호타이어의 역할과 특수성 등을 채권단에게 설명하고 설득하는 노력은 찾을 수 없다. 

지리적 여건, 투자 기반 등이 취약한 광주·전남지역에 기업 하나 유치하기 힘든 상황에서 출향기업이라는 멍에를 안고 지난 50여년간 광주·전남지역민과 동고동락해온 금호타이어 문제에 대해서는 야박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특히 광주시의 소극적인 태도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지난해 1월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일부 라인의 베트남 이전설이 불거지자 삼성전자 광주사업장 고위 간부를 만나 지역민의 우려를 전달했다.

당시 윤 시장은 “지역민들은 삼성의 지역경제에 대한 역할에 감사함을 갖고 있지만 만약 현재 공유하는 상황과 정보의 사실 관계가 틀어진다면 이는 기대가 컸던 만큼 고스란히 원망으로 변할 수도 있는 휘발성을 갖고 있다”며 설득에 나선 바 있다.

늦은 감은 있지만 지금이라도 윤 시장과 지역경제계, 시민단체, 정치권은 힘을 모아 채권단을 만나야 한다. 

‘금호타이어 매각 문제를 단순한 자본 논리로 풀어서는 안된다’는 지역민의 간절한 마음을 전달해야 한다.


금호타이어 운명의 시간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