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이웅열 코오롱 회장이 세계 최초 퇴행성관절염 세포유전자치료제 인보사의 생산라인이 있는 코오롱생명과학 충주공장을 찾아 직원들과 함께 토크쇼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코오롱
5일 이웅열 코오롱 회장이 세계 최초 퇴행성관절염 세포유전자치료제 인보사의 생산라인이 있는 코오롱생명과학 충주공장을 찾아 직원들과 함께 토크쇼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코오롱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이 5일 세계 최초의 퇴행성관절염 세포유전자치료제 인보사의 생산거점인 코오롱생명과학 충주공장을 찾아 지방사업장 현장경영에 나섰다. 인보사는 현재 신약 품목허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이날 공장에선 임직원들이 개발 19년 만에 양산을 앞둔 인보사의 성공적 여정을 기념하며 ‘인보사 성인식’이라는 토크쇼 이벤트를 마련했다. 행사는 그동안의 개발 성공사례를 나누고 묵묵히 개발에 전념해온 임직원들을 격려하는 등 활기찬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이 회장은 각자에게 인보사의 의미를 칠판에 적는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해 ‘나에게 인보사는 981103’이라고 밝혔다. 그는 “인보사 사업검토 결과 보고서를 받아 본 날이 1998년 11월3일 이었는데 성공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보고 내용에 정말 많은 고민을 했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그는 “성공가능성이 0.00001%라고 할지라도 그룹의 미래를 생각할 때 주저할 수 없었고 과감하게 실행에 옮겼다”며 “인보사의 생년월일인 981103은 나에겐 또 다른 성공의 숫자가 되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이 회장은 “현재 충주공장 연간생산량을 1만 도즈에서 10만 도즈를 추가로 증설하는 작업이 추진 중인데 마지막까지 차질 없이 진행해 곧 다가올 인보사의 시대를 미리 준비하자”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충주공장을 떠나는 길에 임직원들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며 “내 인생의 3분의1을 투자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인보사의 성공과 코오롱의 미래를 위해 끝까지 함께할 각오가 되어 있다”며 “계획대로 순조롭게 인보사가 출시되어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의 고통을 하루 빨리 덜어드릴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인보사는 사람의 정상 동종연골세포와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성장인자를 가진 세포를 무릎 관절강 내에 주사로 간단히 투여해 퇴행성관절염을 치료하는 바이오신약이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약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일본 미쓰비시다나베제약과 단일국 기준으로 역대 최고액인 5000억원에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미국에서도 임상 2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고 조만간 임상 3상에 들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