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떼기 뜻.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차떼기 뜻.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차떼기가 화제다. 오늘(6일)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당의 차떼기 선거인단 동원 의혹을 제기한 까닭이다.

문재인 민주당 대선후보 측 공보담당인 박광온 의원은 이날 논평을 내 "국민의당의 차떼기 선거인단 동원의 실상이 드러나고 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국민의당 전북지역 경선에서 '차떼기'로 선거인단을 동원했다는 의혹이 있다는 것이다.


박 의원은 그는 "선관위는 최근 호남 경선 당시 선거인단을 렌터카로 차떼기 동원한 혐의로 국민의당 관계자들을 검찰에 고발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국민의당이 선거인단 차떼기 동원을 위해 조폭의 손을 빌린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차떼기란 상거래에서 물건을 '차로 떼오는 행위'를 이르는 말로, 이날 박 의원은 선거인단을 대규모로 동원한 것을 차떼기에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


차떼기라는 말이 널리 쓰이게 된 것은, 2002년 대선 당시 한나라당이 트럭 등을 이용해 불법정치자금을 조달한 사실이 드러나면서다. 당시 한나라당이 대선을 앞두고 2.5톤 탑차 1대 분량의 현금을 자동차째로 받는 방식 등 대규모로 불법정치자금을 조달한 사실이 검찰 조사로 드러나 크게 파문이 일었다.

한나라당은 후에 불법 정치자금 800억원을 배상해야 했고, 기업이 정당에 기부를 할 수 없도록 정치자금법이 개정되기까지 했다. 자유한국당 전신인 한나라당은 한동안 ‘차떼기당’이라는 비난을 수시로 들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