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포커S] 수협은행장 선출, '새 정부' 손으로 넘어갈까
이남의 기자
2,526
공유하기
![]() |
수협은행 본점/사진=수협은행 |
수협은행이 사상초유의 '은행장 공백' 사태를 맞았다. 50여일간 은행장 인선작업을 진행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하고 수협은행 비상임이사인 정만화 수협중앙회 상무를 은행장 직무대행으로 선임했다.
지난해 말 수협은행은 수협중앙회에서 분리돼 독립법인으로 출범했으나 정부가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무늬만 독립'에 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수협은행 은행장추천위원회(행추위)는 오는 20일 회의를 열고 은행장 선출을 재시도한다.
그러나 행추위원들의 갈등이 깊어진 상태여서 행장 공백사태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더욱이 5월9일 대선이 얼마 남지 않아 은행장 선임이 대선 후로 미뤄질 것이란 전망도 우세하다.
◆행추위간 대립, 정부 입김 여전해
독립 1기, 수협은행을 이끌 차기 행장 인선이 난항을 겪는 이유는 공적자금 상환, 수협은행에 작용하는 정부 입김 등이 맞물려 있다.
현재 행추위는 송재정 전 한국은행 감사, 임광희 전 해양수산부 국장, 연태훈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등 정부 측이 추천한 사외이사 3명과 박영일 전 수협 지도경제사업 대표, 최판호 전 신한은행 지점장 등 수협중앙회가 추천한 2명 등 총 5명으로 구성됐다.
앞서 수협은행장(신용사업대표)은 기획재정부 장관, 금융위원회 위원장, 해양수산부 장관이 추천한 정부 측 위원 4명과 중앙회 측 위원 1명으로 구성된 신용사업대표이사추천위원회에서 결정했다.
그러나 정부 측 위원이 수적으로 우세해 ‘관치금융’이라는 지적이 제기됐고 내부 목소리를 반영해야 한다는 취지로 정부측 인사를 1명 줄이고 중앙회 위원을 1명 늘렸다.
은행장을 선임하는 방법도 행추위 위원 4명 이상이 찬성하는 구조로 바꿨다. 정부(3명)나 중앙회(2명) 측 가운데 어느 한쪽의 의사대로 은행장 선출을 밀어붙이기 어려워진 것이다. 다만 여전히 정부 추천 행추위원의 입김이 강한 탓에 행추위원 간 대립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수협은행은 수협중앙회가 100% 지분을 갖고 있다. 수협중앙회는 신용사업부문을 분리하면서 새출발하는 수협은행의 첫 수장은 내부 출신이어야 한다는 의지가 강하다. 반면 정부는 수협은행에 공적자금을 1조7000억원 투입한 만큼 공적자금 상환을 책임질 적임자를 원하는 눈치다.
일각에선 수협은행 행추위가 은행장이 아닌 감사 자리에 정부 인사를 앉히는 대안이 거론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인사가 수협은행 감사에 자리할 경우 공적자금 상환 등 은행의 경영에 참여할 수 있어서다. 현재 강명석 감사는 은행장 공모에 참여한 상태로 임기는 2019년 11월 말까지다.
이밖에도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 현 정권에서 은행장 인선을 마무리하려는 행추위원들이 극적으로 타협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특히 이번 대선은 정권교체 가능성이 높은 만큼 현 정부에서 고집하는 인사를 은행장에 앉히려는 물밑작업이 속도를 낼 것이란 분석이다.
수협중앙회 노조는 "직무대행 체제에서는 신사업추진, 먹거리 발굴 등에 대한 어떤 결정도 할 수 없고 임단협, 승진 등 산재한 많은 현안들도 풀 수 없다"며 "경영공백과 그에 따른 피해가 발생하면 그 책임을 행추위에 물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남의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금융팀 이남의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