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마다 웃는 모습이 각각 다르지만 잇몸이 치아를 많이 덮고 있거나 위턱뼈가 아래로 많이 성장한 경우 인중이 짧거나 웃을 때 인중이 많이 올라가면 부자연스러워 보일 수밖에 없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일반적으로 웃는 모습은 치아와 잇몸, 입술 3가지 요소에 따라 영향을 받는데 평소 말할 때 4mm 이상 위치아가 보이고 특히 웃을 때 6mm 이상 보이는 경우 '잇몸미소'(gummy smile)라 말한다.

잇몸 미소를 치료하기 위한 잇몸 성형을 할 때에는 아래 위 앞니의 겹침 정도, 치아 주위의 부착된 잇몸의 양, 개인의 스마일라인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잇몸성형은 위턱뼈 구조와 위치는 정상이지만 잇몸이 치아를 과도하게 덮고 있는 경우에 필요한 치료법이다.

반대로 위턱뼈가 정상보다 아래로 내려와 긴 얼굴이 되고 잇몸이 과도하게 보이는 증상은 잇몸 성형치료에 맞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신혜승 원장은 “잇몸 성형을 시행할 때는 생물학적 폭경(biologic width)을 고려해 시술을 해야 재발이나 잇몸 염증을 방지할 수 있는데, 심미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치아와 잇몸 건강을 위해서도 중요할 수 있다. 무리해서 잇몸을 성형하다 보면, 치아의 뿌리가 드러나 치아가 시리거나 예민해질 수 있으므로 시술에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석으로 인해 잇몸이 붓는 증상도 잇몸이 치아를 많이 덮는 원인이 될 수 있고, 치은염 외에도 염증이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 다양하므로 전문의 진단을 통해 잇몸 성형을 고려해 볼만하다”고 말했다.


한편 잇몸 색깔이 검다면 ‘잇몸 미백’을 고려하게 되는데 잇몸이 검고 어두운 경우는 대부분 멜라닌(melanin)을 만드는 세포(melanocyte) 때문이며 외형상 보기 좋지 않을 뿐 병은 아니다.

따라서 심미적인 이유가 아니라면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전신 질환, 아말감 문신(amalgam tattoo), 흡연자의 흑색증(smoker`s Melanosis), 악성 흑색종(malignant Melanoma) 같은 질환 때문에도 잇몸은 검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도 필요하다.


신원장은 “잇몸 미백은 선천적, 후천적으로 색소가 침전돼 잇몸이 검게 보이는 경우 멜라닌 층을 제거해 선분홍색의 건강한 잇몸을 되찾게 해주는 시술로 보다 밝고 환한 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다”며 “외형적인 부분보다 본인의 구강 관리를 위해서 검진을 받아 보는 것도 도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