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서초·여의도 아파트지구, 통합 지구단위계획 수립
김창성 기자
2,862
공유하기
![]() |
서울 여의도의 한 아파트 단지. /사진=김창성 기자 |
현재 서울시는 18개 아파트지구 가운데 최초로 압구정 아파트지구에 대한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추진 중이다. 기존에는 단지별 재건축을 위해 수립한 정비사업 중심의 ‘개발기본계획(정비계획)’을 통해 관리했다면 주거지뿐만 아니라 교통·기반시설·상업지역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시관리 수단인 ‘지구단위계획’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도시관리에 나설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반포·서초·여의도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을 이달 말 발주한다고 19일 밝혔다.
반포·서초·여의도 아파트지구는 1970년대 아파트 공급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정된 서울의 대표 대규모 아파트단지다. 서울시는 재건축 가능시기가 단계별로 도래함에 따라 보다 광역적인 도시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선제적 조치를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변화된 시민 생활패턴과 공간적 여건을 반영하고 주거환경과 교통여건, 도로 등 기반시설, 주변 지역과의 연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개별 단지별 계획보다 큰 틀에서의 통합적 도시관리계획(지구단위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이들 아파트지구는 하나의 블록에 학교·공원 같은 기반시설과 교회·병원·시장·도서관 같은 생활편의시설을 갖춰 그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근린주구’ 이론에 기반해 계획됐다.
이 때문에 주변지역과 공간적으로 단절된 주거기능 위주의 폐쇄적인 생활권이 만들어졌다. 도심과 한강변 사이의 연계 부족 등 도시공간의 유기적 연계차원에서도 여러 문제점이 제기됐다.
또 지은지 30~40년이 지나면서 건물의 노후화·주차문제·주변지역 교통문제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면서 생활 편의 측면에서도 지역 주민들의 재건축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
이에 서울시는 주변 지역과 공간적으로 단절되고 폐쇄적인 주거기능 위주의 계획을 탈피해 오픈커뮤니티 및 문화·여가 자족기능 도입 등 공공시설 계획을 통해 도시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세대수 증가에 따른 주차수요 증가 등을 고려해 광역적 교통개선방향도 함께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구단위계획 수립 중에도 앞서 추진 중인 정비사업은 중단 없이 진행토록 할 방침이다.
김학진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서울시내 대표적 아파트 밀집지역인 반포·서초·여의도 아파트지구가 지구단위계획으로 관리되면 각 지구별 특성을 고려하고 공공성을 담보한 도시관리가 이뤄질 것”이라며 “특히 변화된 시민들의 생활패턴과 공간적 여건을 반영하고 주변 지역과의 연계를 고려한 미래지향적 주거단지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