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중앙홀(로텐더홀)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중앙홀(로텐더홀)에서 열린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

19대 대선에서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은 별도의 취임식을 갖지 않는다. 이번 대선은 전 대통령 탄핵 사태로 보궐선거로 치러진 까닭에, 대통령 업무 공백을 막기 위한 조치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10일) 오전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당선증을 받은 뒤 바로 임기를 시작했으며, 취임식은 국회에서 취임선서를 하는 것으로 대신했다. 취임식을 생략함으로써 정부는 상당한 돈을 아낀 셈이 됐다. 1993년 김영삼 전 대통령 당선 이후 역대 대통령 취임식에는 모두 10억원 이상의 비용이 들었기 때문이다.


30억 쓴 박근혜 전 대통령 취임식

김영삼 전 대통령이 1993년 취임식에서 10억원을 쓴 이후, 대통령 취임식 비용은 계속 높아졌다.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초청인사를 늘리는 등 행사를 키워왔기 때문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 취임식에는 14억원 정도가 들었으며, 노무현 전 대통령 때는 20억원, 이명박 전 대통령때는 24억원이 들어갔다. 박근혜 전 대통령 때는 행사가 가장 커져, 31억원이나 들어갔다. 문 대통령의 경우도 이번 대선 승리가 정권교체 등의 상징성을 갖고 있어, 취임식을 정상적으로 했다면 상당한 돈을 들였을 가능성이 있다.

취임식 비용은 전액 국고 지원


대통령 취임식 비용은 모두 국고에서 나간다. 이 때문에 취임식 비용이 늘어날 때마다 야당 측에서 비용문제로 항의를 하는 일이 반복되기도 했다. 특히 비용이 대폭 늘어난 노무현 전 대통령 당시 야당이던 한나라당의 비난이 거셌다. 그러나 이후 한나라당이 정권을 잡은 이후에도 취임식 비용을 계속 높여, 많은 인사를 초청하는 대규모 취임식이 하나의 관행이 됐다.

트럼프, 취임식 비용만 2억달러


미국에서도 대통령 취임식에 많은 돈이 들어간다. 지난해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식 비용만 2억달러(약 2300억원)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취임 선서식에만 세금이 지원되며, 무도회·파티·콘서트 등 부대행사는 기부금을 받아 운영한다. 트럼프는 취임식을 위해 5000만달러(약 560억원) 정도의 기부금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