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노믹스, '태양광 활성화' 불 댕겼다
김유림 기자
8,956
공유하기
![]() |
J노믹스 태양광. 사진은 문재인 대통령. /사진=임한별 기자 |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신재생에너지를 강조하는 문재인 정부의 'J노믹스'로 태양광 시장이 현재 10조원 규모(누적 기준)에서 약 74조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지난 15일 문재인캠프 국민성장 환경에너지팀과 태양광업계 등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후보 시절 공약한 대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량을 전체 20% 비중으로 확대할 경우 태양광 설비용량이 현재 5GW(누적기준)에서 37GW로 640% 대폭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량의 비중은 전체의 6.61%에 불과하다. 신재생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폐기물 발전이 60.6%로 가장 높고, 바이오(15%), 태양광(10.7%), 풍력(3.6%) 등이다. OECD 34개 회원국 중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이 가장 낮다.
당초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량을 2035년까지 13.4% 비중으로 늘리기로 했지만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지자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 25일 목표를 상향, "2025년까지 달성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주 장관의 발언대로 될 경우 태양광업계에서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량이 18%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공약대로 될 경우 신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2030년 65GW에 이르게 된다. 에너지원별 설비용량을 살펴보면 태양광이 37GW(56%), 해상풍력 13GW(20%), 육상풍력 3GW(4%), 바이오매스 2GW(3%)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태양광 설비용량이 1GW 확대되면 시장규모가 1조5000억원에서 2조원 정도 늘어나는 것을 감안하면, 2030년까지 태양광 시장이 최대 74조원(누적 기준) 규모로 커지게 된다.
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소장은 "문재인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는데, 여건에 따라 보급이 빨라지거나 줄어들 수는 있지만 1년에 태양광 설비용량이 3G~4GW 정도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연간 태양광 발전소가 현재 기준 7000개 정도 생기는데, 1만4000개로 2배 정도 빨라진다고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1GW 석탄화력발전소를 대체하려면 6GW의 태양광발전소가 필요하다"며 "햇빛에 의해 좌우되는 등 설비이용률이 제한돼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내수시장이 확대되면 글로벌 수출 비중이 90% 이상인 대기업보다는, 태양광을 설치하는 등 관련 중소기업들에게 더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유림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디지털뉴스룸 김유림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