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 민주화 운동 기념식,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문재인 대통령의 '5.18 약속' 실현될까
김유림 기자
4,698
공유하기
![]()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기념식. 임을 위한 행진곡. 사진은 문재인 대통령. /자료사진=뉴시스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기념식이 오늘(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리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내걸었던 ‘5.18 약속’이 실현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인 지난 3월 광주 동구 금남로 5.18민주광장에서 광주공약을 발표하고, 5.18광주정신을 헌법 전문에 명기해 5·18의 헌정사적 의미와 헌법적 가치를 명확히 하겠다고 밝혔다.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 민주·인권 기념파크를 조성해 광주의 민주·인권·평화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는 시민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것을 다짐했다. 또한 유엔 인권교육훈련센터, 김대중 대학원, 한국 민주주의 전당, 솔로몬 로(Law)파크 등의 건립, 국가폭력 피해자의 트라우마 치유를 국가 차원에서 지원하는 '국립 국가트라우마 치유센터' 조성도 공약했다.
뿐만 아니라 5.18 발포 명령자와 헬기기총소사 책임자 처벌 등 완벽한 진상규명과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공식 기념곡 제정, '5.18 진상규명위원회' 구성 및 법 개정을 통해 5.18 정신 훼손 시도를 엄벌에 처하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국립5.18 민주묘지를 찾은 뒤엔 "이번 5.18 기념식에는 반드시 '임을 위한 행진곡'을 기념곡으로 만들자"고 강조했고, 대통령으로 당선되면 대통령 자격으로 5.18 기념식에 참석해 노래를 제창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이 같은 문 대통령의 공약은 대통령 취임 이후 일부 현실화됐다.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엔 6년동안 5.18 기념식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불허했던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의 사표를 수리하고 다음날인 지난 12일 5.18 기념식에서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지시, 이명박 정권 이후 시작된 '임을 위한 행진곡' 논란을 9년 만에 마무리지었다.
뿐만 아니라 문 대통령은 5.18 당시 헬기 기총소사와 발포 명령자 규명과 관련해 후보 시절 광주를 방문해 "전일빌딩에서 '헬기소사'가 있었다는 사실이 국과수 감정결과 확인됐다"며 "책임 있는 사람들이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사실을 은폐하는 등 앞으로 규명돼야 할 진실들이 많이 남아있다. 앞으로 들어설 제3기 민주정부는 광주의 진실을 제대로 밝혀내겠다"고 말한 바 있다.
광주시가 진실규명지원단을 설치해 조사를 벌인 끝에 '5·18 당시 신군부가 장악한 육군본부의 작전지침에 따라 전일빌딩에 헬기사격이 자행됐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헬기 발포 명령자 등은 밝혀내지 못한 상태로, 윤장현 광주시장이 "이제 국가차원의 진실규명 작업이 필요하다"고 촉구한 만큼 문 대통령이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상규명에 한발짝 더 다가가게 될지 무게가 실린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유림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디지털뉴스룸 김유림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