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셰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카셰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자동차 공유 서비스 '카셰어링' 관련 소비자 불만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특성으로 인해 차량 4대 중 1대에 안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8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1372소비자상담셈터에 접수된 카셰어링 관련 소비자 불만은 총 237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119건이 접수돼 전년 대비 85.9%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유형별로는 △과도한 수리비 청구 70건(29.5%) △고지 미흡으로 인한 차량 사용 불가 40건(16.9%) △부당한 페널티 부과 38건(16.0%) △사용료 청구 36건(15.2%) △차량 관리 소홀 28건(11.8%) 등의 순이었다.

국내 주요 카셰어링 4개 업체 30대 차량의 안전성을 '자동차관리법'상 정기 검사 항목으로 점검한 결과 7대(23.3%)가 1개 이상 항목에서 부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문제가 발견된 7대 중 5대는 주행거리가 5만㎞ 이하였음에도 안전성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카셰어링 특성상 차량 고장, 관리·정비 불량 등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으로 보인다는 것이 소비자원의 판단이다.

사업자와 대면 없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차량 대여가 이뤄지다 보니 미성년자, 무면허자의 차량 불법 대여 사례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회원 정보, 운전면허 정보, 결제 신용카드 정보 진위 및 동일인 여부 확인만으로 이용이 가능해 명의 도용에 취약했다.


최근 그린카, 쏘카의 경우 불법 대여를 막기 위해 '휴대폰 본인명의 확인'을 추가 인증 수단으로 도입했으나 이 또한 명의를 도용한 휴대전화 개통 등으로 쉽게 무력화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고 소비자원은 지적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관련 부처에 명의 도용 피해 예방을 위한 추가 인증 수단 도입, 철저한 차량 안전 관리 등을 권고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