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미 경제인단, 미국에 40조원 푼다
허주열 기자
3,791
공유하기
삼성전자·현대자동차·SK·LG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앞으로 5년간 총 352억달러(약 40조3000억원)를 미국에 풀기로 했다. 128억달러(14조6500억원)를 투자하고 LNG(액화천연가스)와 항공기 등을 224억달러(25조6400억원) 어치 구매할 계획이다.
지난 29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을 따라 미국을 방문 중인 52개 기업은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투자는 미국 현지 공장설립, 생산설비 확충, 미래기술 연구개발(R&D)투자, 현지기업 인수합병(M&A) 등 다양한 형태로 이뤄질 전망이다.
앞서 지난 28일(현지시간) 삼성전자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주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3억8000만달러 규모의 가전공장 설립계획을 발표했다. 또 오스틴에 소재한 반도체공장에 대해서도 2020년까지 15억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LG전자는 2019년까지 테네시주에 2억5000만달러를 투자해 연면적 7만7000㎡ 규모의 가전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또 뉴저지주에 3억달러를 투자해 2019년까지 신사옥을 건립, LG전자와 LG생활건강, LG CNS 등 계열사 임직원 1000여명을 입주시킨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친환경 자율주행차 등 미래기술개발, 신차·신엔진 개발 등 분야에 향후 5년간 총 31억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SK는 향후 5년간 에너지분야 등에 최대 44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SK는 현재 오클라호마, 텍사스 등에서 셰일가스 개발 및 LNG 생산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 SK는 28일 미국 GE, 콘티넨탈 리소스와 셰일가스 E&P(탐사 및 생산) 분야 투자 등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밖에도 ▲두산그룹 7억9000만달러 ▲CJ그룹 10억5000만달러 ▲LS그룹 3억2000만달러 등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투자 외에도 우리 기업들은 LNG, 셰일가스, 항공기 등을 224억달러 어치 구매할 계획이다.
지난 29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을 따라 미국을 방문 중인 52개 기업은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투자는 미국 현지 공장설립, 생산설비 확충, 미래기술 연구개발(R&D)투자, 현지기업 인수합병(M&A) 등 다양한 형태로 이뤄질 전망이다.
앞서 지난 28일(현지시간) 삼성전자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사우스캐롤라이나주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3억8000만달러 규모의 가전공장 설립계획을 발표했다. 또 오스틴에 소재한 반도체공장에 대해서도 2020년까지 15억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헤이 아담스호텔에서 열린 방미 참여 경제인과의 차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
현대자동차그룹은 친환경 자율주행차 등 미래기술개발, 신차·신엔진 개발 등 분야에 향후 5년간 총 31억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SK는 향후 5년간 에너지분야 등에 최대 44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SK는 현재 오클라호마, 텍사스 등에서 셰일가스 개발 및 LNG 생산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 SK는 28일 미국 GE, 콘티넨탈 리소스와 셰일가스 E&P(탐사 및 생산) 분야 투자 등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밖에도 ▲두산그룹 7억9000만달러 ▲CJ그룹 10억5000만달러 ▲LS그룹 3억2000만달러 등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투자 외에도 우리 기업들은 LNG, 셰일가스, 항공기 등을 224억달러 어치 구매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