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개 분양 현장서 탄성·한숨… "경품 추첨식" 비판 시위도
김나현 기자
6,902
공유하기
![]() |
제주개 분양. 11일 제주시 노형동 제주축산진흥원에서 제주개 20마리를 분양·매각하는 가운데 생후 3개월 미만의 제주개가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
추첨에서 뽑힌 사람들은 탄성을 내질렀고, 뽑히지 않은 사람들은 한숨을 내쉬었다. 또 다른 편에서는 경품 추첨식으로 제주개를 분양하는 것을 비판하는 시위가 진행됐다.
도축산진흥원은 지난 4일 제주축산진흥원에서 사육 중인 제주개 26마리를 추첨으로 분양·매각할 것이라며 신청자를 공개 모집했다. 그러면서 제주개 26마리 중 지난 4월 이후 출생한 20마리는 마리당 5만원에, 노령견 및 장애견은 마리당 3만원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발표 직후 시민단체 및 시민사회에서는 분양·매각일이 초복 전날인데다 장애 유무에 따라 가격이 책정되는 등 분양 방식이 식육 판매를 부추기고 동물 복지를 침해한다는 논란이 발생했다.
도축산진흥원은 지난 10일 여론이 악화되자 분양 대상이던 노령견·장애견을 계속 사육하기로 하고, 분양 대상자에 대해 사육 환경 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현장 조사를 실시한다고 수습했다.
동물보호단체는 이번 제주개 분양 절차에 대해 다소 유의미한 변화는 있었지만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미성 제주동물친구들 이사는 "어제까지 축산진흥원 측과 분양 방식에 대해 조율했다"며 "시간이 촉박한 상황에서 진흥원이 사후 현장 점검 절차를 마련한 것은 다행"이라고 설명했다.
김 이사는 "하지만 개를 경품 추첨하듯이 팔아버리는 방식이 가장 큰 문제"라며 "동물을 상품처럼 쉽게 분양하면 행정이 나서서 유기견, 들개, 식육견 등 사회문제를 부추기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강원명 도축산진흥원 축산진흥과장은 "추첨 방식을 택한 이유는 특정인에게만 개를 분양한다는 특혜 의혹을 불식하기 위해서였다"며 "다음 분양부터는 사전 현장 접수로 진행하는 등 절차를 보완해 나가겠다"고 해명했다.
이에 강원명 도축산진흥원 축산진흥과장은 "추첨 방식을 택한 이유는 특정인에게만 개를 분양한다는 특혜 의혹을 불식하기 위해서였다"며 "다음 분양부터는 사전 현장 접수로 진행하는 등 절차를 보완해 나가겠다"고 해명했다.
한편 도축산진흥원은 이날 분양 대상자 20명을 대상으로 10일 이내에 사육 환경을 점검하고 사육자를 면담할 계획이다. 분양 여부는 점검 결과에 따라 이달 말쯤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