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임한별 기자
/사진=임한별 기자

국민안전처가 7월 가뭄 예·경보를 발표햇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장맛비로 대부분 지역에서 가뭄이 해소됐으나 충남, 전남, 경북, 경남 등 일부지역은 가뭄이 지속돼고 있어 지속적으로 범정부 차원의 가뭄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날 안전처가 발표한 분야별 가뭄 예·경보 내용을 살펴보면, 농업용수 가뭄은 장마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밭작물 가뭄이 해소됐고 전국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50%)도 평년(70%)의 71% 수준으로 상승했다.


다만 저수율이 낮은 울산·경기·충남·전남·경북·경남 일부지역은 여전히 주의(12개 시·군) 또는 심함단계(3개 시·군)의 가뭄이 지속되고 있다. 8월과 10월에는 울산·경기·전남·경북·경남지역 12개 시·군이 주의단계로 국지적인 가뭄이 전망된다.

생활 및 공업용수의 경우 전국 다목적댐 저수율(40.8%)은 평년(38.3%)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고, 최근 장마 영향으로 경기·강원지역의 수문상황(댐, 저수지, 하천 등)은 개선됏으나 충청이남 및 경북지역의 경우 가뭄 해소에는 다소 부족한 상황이다.


저수율이 낮은 보령댐을 수원으로 하는 충남 8개 시·군과 복룡제를 자체 수원으로 활용하는 영광군은 심함단계, 평림댐을 수원으로 하는 전남 3개 시·군(담양, 함평, 장성)은 주의단계다.

8월에는 안동·임하댐 등을 수원으로 하는 경북 3개 시·군(경주, 안동, 청송)과 영천댐을 수원으로 하는 경북 2개 시·군(영천, 포항), 운문댐을 수원으로 하는 경북 2개 시·군(경산, 청도) 및 대구광역시가 주의단계로 전망된다. 9월까지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돼 가뭄상황이 지속되다가, 9월 이후에 점차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가뭄은 7월 1일 시작된 장마로 10일까지 중부지방에 255.8㎜의 강수가 발생함에 따라 6월 말 누적 강수량(평년값 410.4㎜) 대비 약 40% 증가해 이 지역을 중심으로 가뭄이 완화됐다. 그러나 전라, 경상, 강원, 제주도를 중심으로 주의단계의 기상가뭄이 지속 중이다.

최근 5개월 강수량(365.8㎜)은 평년(519.3㎜)의 72% 수준이며, 7월 현재까지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 대비 170%로 장마에 의한 강수총량이 많아 가뭄상황은 호전될 것으로 전망된다. 8월 강수량도 평년수준으로 예상돼 가뭄은 대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물 부족이 우려되는 가뭄 주의단계 이상인 지역을 중심으로 용수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안전처 이한경 재난대응정책관은 “정부에서는 가용재원 지원 및 장비 동원 등을 통해 일부지역 가뭄에도 철저히 대처해 나갈 계획이다. 국민들도 평상시 생활 속에서 물 절약을 생활화해서 정부정책에 적극 동참해 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