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인사 단행. /자료사진=뉴시스
검찰 인사 단행. /자료사진=뉴시스

문재인정부가 27일 대검찰청 검사급 이상 검찰 고위 간부 36명에 대한 승진 및 전보 인사를 단행했다.

법무부는 이날 다음달 1일자로 이동열 서울중앙지검 3차장(사법연수원 22기), 이정회 2차장(23기) 등 12명에 대해 검사장 승진 인사를 단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문재인 대통령이 실시한 새 정부 첫 검찰 고위급 인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우선 공석인 고검장급 보직 5자리에는 사법연수원 19기 2명, 20기 3명이 승진했다. 법무연수원장에는 김오수 서울북부지검 검사장(20기), 서울고검장에는 조은석 사법연수원 부원장(19기), 대구고검장에 황철규 전 부산지검장(19기), 부산고검장에 박정식 대검찰청 반부패부장(20기), 광주고검장에 김호철 법무부 법무실장(20기)이 각각 임명됐다.


'검찰의 별'이라 불리는 검사장으로는 12명이 승진했다. 사법연수원 22기 3명, 23기 9명이 검사장으로 승진했다.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에 조상철 서울남부지검 1차장검사(23기), 범죄예방정책국장에 고기영 대전지검 차장검사(23기) 각각 임명됐다. 새 정부의 '법무부 탈검찰화' 기조에 따라 검사들이 맡아오던 법무실장과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에는 검사를 보임하지 않았다.


대검찰청 보직을 보면 형사부장에 이성윤 서울고검 검사(23기), 강력부장에 배성범 안산지청 지청장(23기), 공판송무부장에 송삼현 부산지검 1차장검사(23기), 과학수사부장에 이정회 서울중앙지검 2차장검사(23기)가 각각 임명됐다.

이어 서울고검 차장검사에 강남일 국회 전문위원(23기), 부산고검 차장검사에 구본선 광주지검 차장검사(23기), 광주고검 차장검사에 오인서 서울동부지검 차장검사(23기)가 각각 임명됐다. 


이 외에도 춘천지검 검사장에 이영주 법무연수원 용인분원장(22기)이 임명됐다. 이는 역대 2번째 여성 검사장 승진 사례다. 울산지검 검사장에 박윤해 서울고검 검사(22기)가 임명됐다.

기존 검사장 중 19명은 자리를 옮겼다. 법무부는 이에 대해 고검장급 보직에 보임되지 않은 19기 검사장도 일선 청 지휘 보직에 배치, 축적된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검사들을 지도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에 유상범 광주고검 차장검사(21기), 사법연수원 부원장에 김기동 대전고검 차장검사(21기·부패범죄특별수사단장)이 각각 임명됐다.


대검찰청에서는 기획조정부장에 차경환 서울고검 차장검사(22기), 반부패부장에 김우현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22기), 공안부장에 권익환 법무부 기획조정실장(22기)이 각각 임명됐다.

지방검찰청에서는 ▲서울동부지검 검사장 조희진(19기) ▲서울남부지검 검사장 최종원(21기) ▲서울북부지검 검사장 안상돈(20기) ▲서울서부지검 검사장 신유철(20기) ▲의정부지검 검사장 김회재(20기) ▲인천지검 검사장 공상훈(19기) ▲수원지검 검사장 한찬식(21기) ▲대전지검 검사장 이상호(22기) ▲청주지검 검사장 이석환(21기) ▲부산지검 검사장 장호중(21기) ▲창원지검 검사장 김영대(22기) ▲광주지검 검사장 양부남(22기) ▲전주지검 검사장 송인택(21기) ▲제주지검 검사장 윤웅걸(21기) 등이 각각 임명됐다.

법무부는 이에 대해 "신임 문무일 검찰총장을 중심으로 검찰의 지휘부를 새롭게 개편했다"며 "조직의 기강과 분위기를 새롭게 하고 검찰 개혁과 부패 사범 척결이라는 과제들을 충실하게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체제를 정비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검사장 승진 인사에 대해서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새로운 인재들을 발탁해 검찰 지휘부를 개편했다"며 "검찰 분위기를 일신하는 한편, 19기 검사장의 용퇴를 최소화하는 등 조직의 안정도 함께 도모하고자 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