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9500만명. 연 평균 6%대의 경제성장률. 쌀을 주식으로 하는 식문화권에 탄탄한 내수 시장….

‘기회의 땅’ 베트남이 포스트 차이나로 떠올랐다. 사드 배치로 국내 기업의 중국사업이 어려워지면서 유통업체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베트남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중국 막힌 유통공룡들… 베트남 공략 박차

가장 적극적인 기업은 롯데다. 롯데는 1998년 롯데리아 베트남 진출을 시작으로 현재 백화점, 마트, 호텔, 시네마, 면세점 등 10여개 계열사가 활발하게 사업을 진행 중이다.


롯데마트는 베트남에서 13개 점포를 운영한다. 롯데마트 베트남 법인은 지난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한 7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마트의 베트남 매출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 3년 동안 148%나 성장했다.


/사진제공=롯데리아
/사진제공=롯데리아



사드 직격탄을 맞은 롯데마트로서는 베트남시장이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현재 중국 내 롯데마트 영업점은 무차별적인 영업정지로 99곳 가운데 74곳이 문을 닫는 등 고초를 겪고 있다.

그룹 오너의 전폭적인 지원도 베트남에 쏠린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지난달 24일 베트남을 직접 찾아 롯데센터하노이 내 백화점과 호텔, 롯데리아 등 현지 사업장을 둘러보고 현지 관계자들과 대규모 쇼핑단지 건설계획에 관해 논의했다.


롯데는 하노이 떠이호구 신도시 상업지구에 3300억원을 투자해 2020년까지 ‘롯데몰 하노이’를 선보일 계획이다. 하노이시 인근 7만3000여㎡ 규모 부지에 롯데쇼핑몰, 백화점, 마트, 시네마 등이 들어선다.

롯데면세점도 최근 베트남시장에 진출했다. 롯데면세점은 현지 업체와 합작법인 푸칸(PHU KHANH) 면세점을 설립하고 다낭공항 국제선 신청사에서 면세점을 운영 중이다. 롯데면세점은 앞으로 호찌민, 하노이 등 베트남 주요 도시에 추가로 면세점을 열 계획이다.


[머니S토리]



중국사업 완전철수를 선언한 이마트도 베트남시장에 눈길을 돌린 지 오래다. 2015년 12월 베트남 1호점으로 문을 연 고밥점의 올 1분기 매출은 138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4% 늘었다.

이마트는 지난해 9월 베트남 호찌민시와 투자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면서 2억달러 규모의 투자계획을 밝혔다. 2020년까지 대형마트뿐만 아니라 슈퍼마켓 등 다양한 형태의 상업시설에 투자하고 호찌민을 교두보로 본격적인 베트남시장 확대에 나선다. 최근에는 베트남 2호점 개장을 위해 호찌민에 부지를 매입하는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거쳐 내년에 오픈할 예정이다.


◆ 외식·식품기업들 앞다퉈 베트남행

편의점, 식품, 외식기업들도 줄줄이 베트남으로 향하고 있다.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은 지난달 말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베트남의 손킴그룹과 합자법인회사(조인트벤처) 설립계약을 체결했다. GS리테일은 조인트벤처 지분 30%를 보유하고 조인트벤처로부터 로열티를 받는 마스터프랜차이즈 방식으로 계약한 후 올해 하반기 중 호찌민시에 GS25 1호점을 열 예정이다.

GS리테일은 그동안 아시아와 중동 여러 국가로부터 편의점 진출 제의를 받았지만 성장 가능성이 큰 베트남을 첫 해외 진출 국가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GS리테일은 베트남시장을 발판 삼아 캄보디아, 중국 등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CJ제일제당, CJ푸드빌, CJ CGV 등 여러 계열사가 진출해 있는 CJ그룹도 베트남 공략에 공을 들인다. 지난해와 올해 킴앤킴, 까우제, 민닷푸드 등 베트남 현지 식품업체 3곳을 인수한 CJ제일제당은 700억원을 투자해 글로벌 성장동력 발굴 및 식품 제조혁신을 위한 최첨단 통합생산기지 구축에 나섰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뚜레쥬르도 2007년 베트남에 처음 진출해 현재 34개 직영점을 운영하며 현지시장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종합식품기업 아워홈은 지난 4월 베트남 북동부 하이퐁 지역에 첫 현지법인을 설립한 데 이어 최근 하이퐁 LG이노텍 생산공장 내에 급식사업장 1호점을 열었다. 아워홈은 베트남 진출을 발판 삼아 2020년까지 해외사업 매출 1500억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 풍부한 노동인구… 성장 잠재력↑

이처럼 국내 유통·서비스기업들이 앞다퉈 베트남 사업확장에 나서는 이유는 베트남이 성장 잠재력이 큰 신흥소비국으로 떠올라서다. 여기에 베트남정부의 적극적인 해외기업 유치정책과 한류 콘텐츠 선호도가 높은 것도 국내 기업들의 진출 장벽을 낮추는 경쟁력으로 꼽힌다.

베트남 시장규모는 인도네시아의 4분의1, 태국의 3분의2 정도로 상대적으로 작지만 더 큰 기대를 받는다. 9500만명의 인구 중 15세~50대의 노동가능 인구가 6000만명에 육박해 풍부한 노동생산력을 지녀서다. 시장 상황도 좋다.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 소매유통시장은 940억달러(106조원) 가량으로 추산된다. 내년에는 1224억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점쳐진다.

업계 관계자는 “베트남이 한국, 중국과 마찬가지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식문화권이고 중국보다 현저히 낮은 인건비 등의 조건을 갖춰 내수부진에 시달리는 국내기업들에게는 충분히 매력적인 시장”이라며 “잠재 소비층이 크다는 점뿐 아니라 동남아로 뻗어나갈 수 있는 전초기지 국가라는 점도 국내 유통기업들이 베트남에 주목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 본 기사는 <머니S> 제500호(2017년 8월9~15일)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