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DB
사진=머니투데이DB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1명 당 생명보험 보장 금액이 평균 약 4760만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율이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 6일 생명보험협회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1인당 보유계약 금액은 4760만7000원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다.


보유계약 금액은 보험사고가 났을 때 생명보험으로 보장받는 금액으로 종신보험·연금보험 등 생명보험 상품의 사망보험금과 주계약금 등을 전체 국민 수로 나눈 것이다.

지난해 증가율은 지난 2011년 기록한 역대 최저치(0.2%)와 같은 수준이다.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회복국면에 접어들며 국민 1인당 보유계약 금액은 ▲2012년 8.4% ▲2013년 7.1% ▲2014년 3.3% ▲2015년 5.8% 등으로 꾸준히 증가했다가 지난해 제자리걸음을 하게 됐다.


보험업계에서는 새 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저축성 보험 판매를 줄이며 전반적으로 영업이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IFRS17에서는 보험 부채를 계산하는 방식이 달라져 저축성 보험을 많이 보유하면 부채가 늘어나게 된다. 이에 보험사들이 보장성 보험 판매 비중을 늘렸다.


지난해 신계약 가입금액은 365조2899억원으로 전년 대비 7.6% 감소했다. 보장금액이 상대적으로 적은 5000만원 미만이 전체 신계약 건수의 80.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생명보험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재무 건전성 확보 차원에서 자산을 매각한 것 등이 당기순이익을 끌어올렸다”며 “보험 영업이 잘 안 되니 1인당 보유계약 금액은 전년 수준에 그쳤다”고 말했다.